직장인 92%가 일정한 직업이 없는 ‘무업(無業)’상태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잡코리아
/사진=잡코리아

잡코리아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월22일부터 28일까지 직장인 788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에 따르면 ‘무업 상태가 될 것 같은 막연한 불안감, 두려움을 느끼냐’는 질문을 던진 결과 응답자의 92.1%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들이 무업 상태가 될 것 같은 막연한 두려움을 느끼는 대표적인 이유는 ‘취업, 이직이 너무 어려워서(48.8%)’였다(*복수응답). 또 ‘실제 무업 상태로 생활해본 경험이 있어서(36.4%)’, ‘취업시장, 경제가 나빠진다는 뉴스를 많이 접해서(31.3%)’, ‘주위에 무업 상태로 생활하는 지인들이 많아서(30.6%)’, ‘정년 보장이 안 되는 일을 하고 있어서(25.2%)’ 등 다양한 의견이 이어졌다.

다음으로 한 번 직장을 잃으면, 혹은 적정한 시기에 취업하지 못하면 그 상태를 벗어나기 매우 힘든 사회를 뜻하는 ‘무업사회’ 신조어에 대한 직장인들의 의견을 조사했다. 먼저 ‘무업사회’ 신조어를 알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 10명 중 4명에 달하는 38.1%의 직장인이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직장인들은 우리나라가 ‘무업사회’ 상태 또는 ‘무업사회’가 되는 중이라고 입을 모았다. ‘우리나라, 무업사회 인가요?’라는 질문을 던진 결과 ▲무업사회다(52.3%), ▲현재 아니지만 무업사회가 되고 있다(40.7%)는 답변이 높은 응답률로 1, 2위에 오른 것. ▲무업사회에서 벗어나고 있다, ▲무업사회가 아니다는 답변은 각각 3.4%, 3.6%만을 기록했다.

한편 직장인 76.5%는 취업, 이직을 준비하며 무업 상태로 생활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은 무업 상태로 생활하며 가장 많이 한 활동으로 ‘취업준비, 공부 등 자기계발(70.1%)’을 꼽았다(*복수응답). 이외에는 ‘잠을 많이 잤다(30.0%)’는 답변과 ‘TV, 영화 시청(22.2%)’, ‘친구, 지인 만나기(17.6%)’ 등의 활동을 했다는 답변이 이어졌다. 직장인들이 무업 상태로 생활한 기간은 ‘3달~6달 미만(28.7%)’, ‘3달 미만(23.1%)’부터 ‘1년 이상(22.2%)’까지로 다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