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배달앱 '배달의민족'(배민)의 요금 체계 변경과 관련 날선 비판을 이어가고 있는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전화주문 운동'을 독려했다. /사진=임한별 기자 |
배달앱 '배달의민족'(배민)의 요금 체계 변경과 관련 날선 비판을 이어가고 있는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전화주문 운동'을 독려했다.
이어 "성공한 기업들이 왜 사회공헌에 윤리경영을 하고, 어려운 시기에는 이용료 깎아주며 공생을 추구하는지 이해해야 한다. 국민과 소비자는 기업을 살릴 수도 있지만, 죽일 수도 있다는 걸 모르는 것 같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다른 글에서는 '사기업에 지자체가 지나치게 간섭하다'는 일각 지적에 대해 "대책 강구하면 한다고 난리, 안 하면 안 한다고 난리"라며 "오로지 기준은 기득권자에게 도움되느냐겠지요. 개가 짖어도 기차는 달린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7일 이 지사는 자신의 SNS에 '국민 무시에 영세상인 착취하는 독점기업 말로는 어떻게 될까요?'로 시작하는 글을 게재하며 "소비자들의 전화 주문 운동을 응원한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단순 플랫폼 독점으로 통행세를 받는 기업이 인프라 투자자이자 기술문화자산 소유자인 국민을 무시하고 성공할 수 있을까? 돈만 밝힌다고 돈을 벌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성공한 기업들이 왜 사회공헌에 윤리경영을 하고, 어려운 시기에는 이용료 깎아주며 공생을 추구하는지 이해해야 한다. 국민과 소비자는 기업을 살릴 수도 있지만, 죽일 수도 있다는 걸 모르는 것 같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다른 글에서는 '사기업에 지자체가 지나치게 간섭하다'는 일각 지적에 대해 "대책 강구하면 한다고 난리, 안 하면 안 한다고 난리"라며 "오로지 기준은 기득권자에게 도움되느냐겠지요. 개가 짖어도 기차는 달린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특히 이 지사는 "배달앱 아닌 전화로 주문하고, 점포는 전화주문에 인센티브를 주자는 운동이 시작됐다. 도민을 보호해야 하는 지사로서 적극 응원한다"며 "여러분께서 소비자와 국민이 무섭다는 걸 보여달라"고 촉구했다.
앞서 이 지사는 배민 수수료 논란에 대해 공공앱 개발 등으로 적극 대응하겠다고 선언했다. 이후 빠른 대응책을 반기는 목소리와 과도한 개입이라는 비판이 함께 나오고 있다. 이 가운데 이 지사는 “사기업이라도 시장 질서를 왜곡할 경우 지자체나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며 적극 대응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앞서 이 지사는 배민 수수료 논란에 대해 공공앱 개발 등으로 적극 대응하겠다고 선언했다. 이후 빠른 대응책을 반기는 목소리와 과도한 개입이라는 비판이 함께 나오고 있다. 이 가운데 이 지사는 “사기업이라도 시장 질서를 왜곡할 경우 지자체나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며 적극 대응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