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사 스토어 이미지/사진=무신사
무신사 스토어 이미지/사진=무신사
패션업계 불황에도 무신사에 입점한 브랜드들이 해마다 매출 성과를 꾸준히 높여가고 있다. 상품 경쟁력은 갖췄지만, 마케팅, 판매 영업, 현금 유동성 등에 어려움을 겪던 패션 브랜드와 무신사의 상생 전략이 시너지를 내는 것이다.
무신사가 지난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입점 브랜드의 1~7월 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년 대비 거래액이 증가한 브랜드 수가 2018년과 비교해 2020년에 80% 늘었다. 이중 거래액이 100% 이상 신장한 브랜드 수는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올해 같은 기간 거래액이 1억원 이상을 기록한 브랜드는 2018년에 비해 87%나 많아졌다.

브랜드 발매와 함께 무신사에 입점해 인지도와 매출 상승효과를 얻은 브랜드도 눈에 띈다. 마크 곤잘레스는 올해 상반기 거래액이 2년 전 대비 10배 이상 급증했고 던스트, 마하그리드, 라퍼지스토어 등도 최근 2년간 2~300% 이상 꾸준한 신장세를 보였다.


글로벌 브랜드, 국내 제도권, 메이저 브랜드는 무신사와 새로운 시도를 하며 매출을 높이고 있다. 폴로 랄프 로렌은 지난해 동기간 대비 4배 이상 거래량이 늘었고 노스페이스와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 역시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엠엘비, 지프 등도 나란히 200% 이상의 거래량 상승률을 달성했으며 이어 MCM과 메트로시티, 라코스테 등도 입점과 함께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였다.

여성 패션 스토어인 우신사의 약진도 눈 여겨 볼 만하다. 지난해보다 거래액이 2배 이상 증가한 브랜드가 600여 개에 달했다. 브랜드별 매출 성과를 살펴보면, 5252바이오아이오아이와 스컬프터는 2배 이상 거래액이 증가했으며 리올그, 네스티팬시클럽, 키르시도 전년 대비 거래량이 2~300% 이상 늘었다. 동시에 아카이브앱크, 오이아우어, 엘바테게브, 파인드카푸어 등 지난 겨울에 입점해 올 상반기 큰 활약을 보여준 브랜드도 많았다.

입점 브랜드들의 꾸준한 매출 성장에는 ▲무신사가 패션 이커머스 분야에서 쌓아온 풍부한 유통, 판매 노하우와 ▲패션 쇼핑에 최적화된 서비스 제공이 주요한 역할을 했다. 동시에 ▲연평균 50% 이상 증가하고 있는 신규 회원 수와 ▲80% 이상에 달하는 재구매율 성과도 입점 브랜드들에 안정적인 비즈니스 환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밖에도 ▲담당 MD, 전문 패션 에디터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브랜드와 상품 가치를 제공하는 콘텐츠 커머스 역량과 ▲판매 촉진 및 인지도 확대를 이끄는 상품 기획, 판촉 프로모션, 온·오프라인 광고, 마케팅 등도 브랜드 성과에 긍정적으로 기여했다.

무신사 회원에게 제공하는 쿠폰, 적립금 등의 할인과 이벤트 사은품 제공 등 브랜드 사업 운영에 필요한 실질적 비용 지출 일부를 지원해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또한 판매 대금을 2주 이상 앞당겨 지급하는 선정산 프로그램, 비공급망 대출 등의 다양한 상생 지원 방안도 중소형 패션 브랜드의 안정적인 사업 운영을 돕는 든든한 디딤돌 역할을 하고 있다.

무신사는 신규 입점, 협업 기회를 모색하는 여러 브랜드를 위해 다양한 마케팅, 광고 툴을 확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브랜드와 회원 간의 스킨십을 높일 수 있는 체험단 이벤트, 래플 응모, 옥외 광고, 랜덤 쿠폰, 단독 기획전 등을 실시한다.

올해 하반기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매출과 재고 부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브랜드의 판매 촉진을 돕기 위한 세일 기획전 등 입점 브랜드를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기획, 운영할 계획이다.

무신사 관계자는 “입점 브랜드가 필요로 하는 인프라와 정보를 제공해 이들이 매출과 인지도를 높일 수 있도록 도우며 함께 성장하는 것이 무신사의 역할”이라며 “앞으로도 무신사가 보유한 유통 인프라와 콘텐츠, 커머스 역량을 활용해 입점 브랜드의 비즈니스 성과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