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한국거래소 |
3일 거래소에 따르면 오는 7일부터 정부의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비전을 구체화하기 위해 최근 미래 성장주도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BBIG 산업을 뉴딜분야로 선정한 K-뉴딜지수를 내놓는다.
BBIG 산업은 K-뉴딜정책의 핵심분야로서, 관련 10개 주요 종목의 시가총액 합계는 322조원으로 코스피 내 20.4%의 비중을 차지한다.
거래소는 정부의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비전을 구체화하기 위해 최근 미래성장주도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BBIG 산업을 뉴딜분야로 선정하고 K-뉴딜지수를 개발했다.
지난 2015년 이후 최근 5년간 KRX BBIG K-뉴딜지수 5종의 연평균 수익률은 약 30% 내외다. K-뉴딜지수 5종은 KRX BBIG K-뉴딜지수와 KRX 2차전지 K-뉴딜지수, KRX 바이오 K-뉴딜지수, KRX 인터넷 K-뉴딜지수, KRX 게임 K-뉴딜지수 등으로 구성됐다.
이 중 대표지수인 KRX BBIG K-뉴딜지수는 BBIG 4개 업종마다 3개 종목씩 총 12개 종목으로 구성됐다. 2차전지(LG화학·삼성SDI·SK이노베이션)와 바이오(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SK바이오팜), 인터넷(NAVER·카카오·더존비즈온), 게임(엔씨소프트·넷마블·펄어비스) 등으로 비중은 모두 12분의 1로 동일하다.
거래소는 10월 중 이들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조기 상장을 추진해 시중 유동성이 자본시장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또 지수에 포함된 40개 종목 중 코스닥 종목이 19개로 코스닥 시장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거래소는 한국판 뉴딜정책 확산을 유도하기 위해 '탄소효율 그린뉴딜지수'도 10월 출시를 목표로 개발하고 있다. 거래소는 각 기업의 산업 특성 및 매출단위당 탄소배출량을 점수화해 탄소효율점수가 높은 기업의 투자 비중이 높아지도록 개발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