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가 오는 10월부터 배달라이더들에 산재보험을 본격 적용한다. 사진은 22일 서울시내 한 배달대행 업체에 배달 오토바이들이 주차되어 있는 모습./사진=뉴시스
서울특별시가 오는 10월부터 배달라이더들에 산재보험을 본격 적용한다. 사진은 22일 서울시내 한 배달대행 업체에 배달 오토바이들이 주차되어 있는 모습./사진=뉴시스

서울특별시에서 근무하는 쿠팡이츠·배민 배달라이더들이 사고 날 경우 오는 10월부터 보험료 전액을 지원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서울시는 플랫폼 배달노동자의 민간단체상해보험 보험료 전액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19일 밝혔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인 배달노동자의 경우 사고를 당해도 산재보험 적용을 받지 못하는 등 사회안전망 사각지대에 놓인 경우가 많았다. 특히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배달주문 수요 증가로 오토바이(이륜차) 사고가 지속 늘어나면서 그 위험은 더 커졌다. 


서울시가 지역배달대행업체 배달노동자 101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배달노동자 75.2%가 배달 업무 중 교통사고를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종합보험에 가입한 노동자는 374명으로 36.8%에 불과했다. 배달노동자의 산재보험 가입 비중도 42.9%에 그쳤다. 

이에 서울시는 '플랫폼 배달라이더 서울형 안심상해보험'을 계약해 피보험자인 배달노동자의 보험료 전액을 납부하기로 했다. 지원 대상은 만 16세 이상 이륜차(오토바이, 전동킥보드, 자전거 등) 배달종사자로 연령, 성별 등은 사전에 특정하지 않도록 했다. 

서울지역 내에서 배달 업무 중 사고가 발생하면 민간보험사가 피보험자인 배달노동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하게 된다. 주요 보장내역은 배달 업무 중 사망, 상해, 후유장해, 골절진단, 치료비 등이다. 서울시는 19일부터 상해보험시행사를 공개 모집한다. 총예산은 연간 25억원이다. 시는 다음 달 보험사를 선정해 보장 범위 등을 확정한 뒤 오는 10월부터 보험을 적용할 예정이다. 


한영희 서울시 노동·공정·상생정책관은 "배달노동자의 경우 사고를 당하면 생활고와 치료비 부담 등 즉각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된다"며 "서울시가 도입한 배달라이더 상해보험이 배달노동자의 사회 안전망 확보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