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FP 통신이 지난 28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한 바에 따르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부스터샷 부작용이 2차 접종과 비슷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은지난달 14일 미국 펜실베니아주 한 약국에서 부스터샷 접종을 하는 시민의 모습. /사진=로이터 |
지난 28일(이하 현지시각) AFP통신에 따르면 로셸 윌렌스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국장은 “부스터샷 부작용의 빈도와 유형이 백신 2차 접종 후 나타나는 부작용과 비슷했다”고 밝혔다. 이어 “대부분 경미하거나 지속기간이 길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CDC는 지난달 12일부터 19일까지 일주일 동안 백신 안전 스마트폰 앱(v-safe)에 가입한 부스터샷 접종자 2만2000명을 대상으로 접종 후 부작용을 조사했다. 그 결과 부스터샷 부작용으로 참가자의 71%가 접종 부위 통증을 호소했다. 이어 피로와 두통을 호소한 참가자는 각각 56%와 43%였다. 또 참가자의 약 2%는 부스터샷 접종 후 병원 진료를 요청했고 약 0.1%는 실제로 병원에 입원했다.
다만 CDC 조사 결과 보고서는 ‘v-safe’앱을 가입한 사람들 중 자발적으로 참여한 사람의 응답만을 토대로 했다. 따라서 CDC 역시 이번 조사에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에서는 지난 25일부터 65세 이상 및 면역 취약계층에게 화이자 백신 부스터샷 접종을 시작한 바 있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