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이 아스트라제네카(AZ)가 개발한 코로나19 치료제 이부실드에 대해 필요성이 인정되면 도입하겠다고 밝혔다./사진=로이터
방역당국이 아스트라제네카(AZ)가 개발한 코로나19 치료제 이부실드에 대해 필요성이 인정되면 도입하겠다고 밝혔다./사진=로이터
방역당국이 아스트라제네카(AZ)가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이부실드에 대해 필요성이 인정되면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임숙영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24일 오후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이부실드의 면역저하자에 대한 효과, 오미크론 유행에 대한 효과, 안전성에 대해 현재 검토 중이고 필요성이 인정된다면 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부실드는 백신 접종 이후 항체가 충분히 생기지 않는 면역저하자들을 위해 항체를 직접 주입하는 치료제다. 영국 아스트라제네카사가 개발했다. 

당초 방역당국은 이부실드 도입을 위해 이부실드 구매 예산을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추경)에 포함했으나 전액 삭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방역 예산보다 시급성이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임 단장은 "당시 예산은 2만명 정도의 분량을 구입할 수 있는 양(금액)이었다"며 "검토 완료 후 도입하게 된다면 예비비를 통해 구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국은 GSK와 비어 바이오테크놀로지가 공동 개발한 항체 치료제 소트로비맙에 대해서는 도입 검토를 하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임 단장은 "소트로비맙은 현재 정부안에서 검토하고 있지 않다"며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와 주사제 렘데시비르를 활용해 대응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