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선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2일 이재명(더불어민주당), 윤석열(국민의힘), 심상정(정의당), 안철수(국민의당) 후보가 서울 여의도 KBS 본관에서 열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관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 (3차 사회 분야)에 참석, 토론회 준비에 앞서 기념촬영을 갖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
이 후보는 2일 저녁 8시 서울 영등포구 KBS본관에서 열린 3번째 TV토론에서 국민의힘이 추경안 처리를 사실상 방해했다고 지적했다. 윤 후보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 실질적인 피해보상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회는 앞서 지난달 21일 본회의를 열어 16조9000억원 규모의 2022년 제1차 추경안을 가결했다. 해당 추경안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332만명에 1인당 방역지원금 300만원을 일괄 지급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한다. 하지만 이 추경안은 여야가 협상에서부터 난항을 겪었고 결국 민주당이 지난 19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통해 단독으로 처리했다.
이와 관련해 포문을 연 쪽은 이 후보였다. 이 후보는 "정부에서 300만원을 지원한다고 할 때 다른 예산을 잘라서 하라고 방해했지만 결국 찬성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처음에는 300만원이 매표 행위라고 했지만 다음에는 300만원을 우리가 말했다고 유권자에 문자를 보냈다"고 언급하며 "나중에는 당선되면 1000만원을 하겠다고 하는데 무엇이 진심인가"라고 물었다.
이에 윤 후보는 "지난해 민주당에서 손실보상 없는 손실보상법을 날치기한 직후부터 50조원을 마련해서 정부의 방역정책으로 손실을 본 자영업자, 소상공인에 대해 실질적 피해보상을 해야 된다고 지금까지 일관되게 주장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 후보나 민주당이 작년 내내 실질적인 손실에 대한 피해보상은 이야기 안 하고 전국민 재난지원금을 30만원이나 50만원 하다가 선거를 앞두고 갑자기 50조원을 만든다고 제 공약 모방했다"고 받아쳤다.
나아가 윤 후보는 "추경안을 왜 날치기 하냐"며 "우리는 할 수 없이 사각지대에 계신 분들에 대해 3조원을 더해 17조원으로 통과시켰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는 베푸는 것이 아니라 정부의 공공정책으로 피해본 분들 대해 헌법상 권리로 보장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