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도 대학 입시에서 수학 1등급의 영향력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성적이 우수할 경우 국어 4~5등급을 받고도 서울대학교 등 주요 상위권 대학에 정시 합격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5일 종로학원 등에 따르면 올해 정시에서 국어 3등급을 받은 학생이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에 최초 합격한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학생은 국어 3등급, 수학 1등급, 영어 2등급, 탐구 각 2·3등급을 받았다.
중앙대학교 창의ICT공과대학에서는 국어 4등급을 받은 학생이, 한양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에서는 국어 3등급을 받은 학생이 최초 합격한 것으로 추정됐다. 이들은 수학에서는 1등급을 거뒀다.
종로학원은 국어와 수학 점수 차이가 2점에 불과했던 2022년도 수능에 비해 2023년도 수능에는 표준점수 최고점이 국어(언어와 매체) 134점, 수학(미적분) 145점으로 격차가 11점 벌어지면서 이런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봤다. 그 결과 수학 고득점 학생이 국어 성점이 낮아도 상위권 대학에 합격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종로학원은 "수학 변별력이 정시 합격 변수에 영향을 미쳤다"며 "상위권 대학 상당수 학과에서 국어 4~5등급을 받고도 합격하는 사례가 나올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