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대로템이 폴란드와 K2 전차 180대를 공급하는 2차 계약 협상을 완료했다. 개별 방위산업 수출계약 사상 최대인 63억달러(약 8조5000억원) 규모다.
2일 방위사업청에 따르면 브와디스와프 코시니악-카미슈 폴란드 국방부 장관과 현대로템이 K2 전차 2차 계약 협상을 완료했으며 공식 계약 체결을 앞뒀다.
방사청은 구체적인 계약 규모를 추후 공개하겠다고 했지만 시장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8조5000억원 규모로 추정한다. 계약 체결식은 두 나라 정부 고위급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할 예정이며 계약 체결 방식과 세부 일정 등을 조율하고 있다.
이번 2차 계약은 총 180대 가운데 117대(K2GF)는 현대로템이 직접 생산해 공급하고 63대(K2PL)는 폴란드 국영 방산그룹 PGZ가 현지에서 생산할 예정이다.
폴란드는 2022년 급격히 높아진 안보 수위에 긴급 대응하기 위해 국내 방산업체와 포괄적 합의 성격의 총괄계약(Framework Contract)을 체결했다.
이후 같은 해 4종의 무기체계(K2 전차·K9 자주포·FA-50·천무)에 대한 1차 이행계약을 체결하고 2023년 K9 자주포, 2024년 천무 등 2차 이행계약도 순차 체결했다.
당초 K2 전차도 2차 이행계약을 체결한 다른 무기체계와 비슷한 시기에 2차 이행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폴란드형 K2 전차(K2PL) 개발과 현지생산 등이 포함되면서 사업규모의 범위가 넓어지고 계약규모도 확대됐다.
지난해 12월3일 발생한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국내의 복잡한 정치적 상황도 계약 지연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방사청은 "K2 전차 2차 이행계약은 방산업체는 물론 방사청, 국방부, 외교부, 기재부, 산업부, 육군 등 관련 부처와 기관이 모든 역량을 총결집해 '원팀'으로 노력한 결과"라고 자평했다.
이어 "정부는 두 나라에서 새 정부가 출범하는 가운데서도 한 결 같이 적극적인 기술이전과 군사협력을 약속하고 방산수출금융 등 다양한 정책지원을 통해 폴란드의 돈독한 신뢰를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이번 2차 계약에서는 국내생산 K2 전차와 함께 폴란드 군의 요구성능에 맞도록 K2PL를 개발해 인도할 예정이다. 1차 계약 당시 국내에서 생산된 K2 전차 완제품을 수출하는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2차 계약부터는 일부 물량이 현대로템과 폴란드 방산업체의 협력을 통해 현지에서 조립 생산된다. 폴란드 내 K2 전차 생산시설도 구축될 예정이다.
방사청은 현지생산 거점 구축에 대해 총괄계약에 포함된 K2 전차 1000대 가운데 나머지 물량에 대한 후속 계약 이행가능성까지 높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짚었다.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은 "K2 전차 2차 수출계약은 어려운 여건에서도 방산수출의 용광로가 식지 않도록 민·관·군이 힘을 모아 노력한 결과"라며 "이번 계약이 한·폴 방산협력이 견고하게 지속될 것임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K2 전차가 한국뿐만 아니라 유럽의 안보를 책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