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2개월 연속 상승하면서 4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하면서 대출 원리금을 제때 상환하지 못하는 차주가 늘면서 금융권 위험 관리에 경고등이 켜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요 은행들은 올 1분기에만 1조원에 가까운 부실채권(NPL)을 매각하며 건전성 제고에 들어갔다.
2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이 0.46%로 전월보다 0.03%포인트 올랐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0.19%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19년 11월 0.48%를 기록한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대기업 대출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연체율이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보다 0.02%포인트 상승한 0.39%였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전월보다 0.01%포인트 오른 0.25%,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은 0.05%포인트 오른 0.76%를 기록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0.52%로 전월 말보다 0.04%포인트 상승한 가운데 중소기업대출은 0.61%,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0.56%로 각각 0.05%포인트씩 올랐다.
대기업대출만 연체율이 0.01%포인트 내린 0.18%를 기록했다.
신규연체 발생액은 2조7000억원으로 전월보다 3000억원 늘었다.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2조원으로 7000억원 증가했다.
연체율이 급등하자 은행들은 NPL(부실채권)을 정리하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은 오는 3월까지 9700억원 규모의 NPL을 매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