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제공=GS건설
자료 제공=GS건설

지난해 12월 인천광역시 송도국제도시의 마지막 공유수면 매립 공사가 시작되며 개발사업이 막바지 단계로 접어들었다. 총 3개 공구로 나눠 추진된 송도11공구 매립 공사 가운데 매립을 완료한 11-1공구(2016년) 11-2공구(2023년)에 이어 남은 11-3공구는 2027년 완료를 목표로 착공에 들어갔다.

자족기능 강화 콤팩트시티

송도11공구는 전체 면적 6.92㎢로 송도국제도시 11개 공구 가운데 가장 큰 면적을 자랑한다. 주거·업무·교육·문화 등 도시의 주요 기능을 집적한 도시계획 기법 '콤팩트시티'로 조성된다. 주요 기능들이 집중돼 시민들은 짧은 이동시간으로 다양한 시설을 누릴 수 있다.

2016년 매립을 완료한 11-1공구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제2캠퍼스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송도국제도시 내 1~4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송도11공구 제2캠퍼스에는 5~8공장이 2032년까지 총 7조5000억원을 투자해 조성된다. 5공장은 지난해 4월 착공에 들어가 조립식 건설인 '모듈러'를 채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제2캠퍼스 옆에는 롯데바이오로직스 생산시설 구축을 위한 토지를 매입한 상태다.


송도11공구 연구용지에는 연세대 국제캠퍼스 2단계, 인하대 오픈이노베이션캠퍼스(인하대 송도캠퍼스)도 조성될 계획이다. 외곽으로 대규모 연구·개발(R&D) 용지 13개 블록이 배치돼 고소득 직장인과 연구원들이 직주근접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다.

'한국의 베니스' 예고… 중앙 워터프런트 조성

지난해 송도11-2공구 매립이 완료되면서 송도11공구 중앙을 가로지르는 워터프런트 조성도 속도를 낼 수 있을 전망이다. 송도국제도시에는 '센트럴파크'를 중심으로 친수공간이 자리잡고 있다. 호수를 중심으로 주변에 공원, 녹지시설이 있어 사계절 많은 이들이 찾는 명소다. 특히 호수에서 보트를 타고 보는 송도국제도시의 모습은 SNS를 통해 인기를 얻고 있다.

송도11공구에 워터프런트는 중앙을 가로지르는 4.98㎞ 길이 수변공간이다. 송도국제도시 워터프런트 일부에 해당하는 사업으로 수질 개선과 방재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시민들을 위한 친수공간으로 탄생된다. 친수공간 일대로는 상업시설들이 들어설 예정이다.


매머드급 규모 송도11공구 마수걸이 분양 눈길

송도국제도시 11개 공구 가운데 마지막에 해당하는 11공구에서 첫 아파트가 분양에 나서 관심을 모은다. 특히 3000가구 이상 규모로 향후 랜드마크 단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GS건설과 제일건설이 송도11공구 5개 단지(Rc10~11, Rm4~6)를 통합 개발하는 '송도자이 풍경채 그라노블'이다.

지하 2층~최고 47층, 23개동(아파트 21개동, 오피스텔 2개동), 총 3270가구로 전용면적 84~208㎡ 아파트 2728가구와 전용면적 39㎡ 오피스텔 542실 등으로 구성된다. 단지별로 ▲1단지 아파트 469가구 ▲2단지 아파트 548가구 ▲3단지 아파트 597가구, 오피스텔 271실 ▲4단지 아파트 504가구 ▲5단지 아파트 610가구, 오피스텔 271실로 구성된다.

'송도자이풍경채 그라노블'은 송도11공구 녹지 인프라 핵심인 워터프런트 입지로 주거환경이 쾌적하다. 일부 세대에는 워터프런트 영구 조망이 가능할 전망이다.

단지 바로 옆에 유치원과 초∙중교 부지가 계획돼 있다. 연세대 국제캠퍼스, 인천글로벌캠퍼스(뉴욕주립대·조지메이슨대·겐트대·유타대)가 가깝고 인하대 오픈이노베이션캠퍼스(인하대 송도캠퍼스)가 부지와 맞닿아 있다

도보권에 2026년 개원 예정인 800병상 규모 송도세브란스병원이 위치한다. 홈플러스, 현대프리미엄아울렛(송도점), 트리플스트리트 등 대형 쇼핑시설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제2캠퍼스를 비롯해 산업·연구시설들이 가깝다. 피트니스클럽, 사우나, 게스트하우스, 어린이집, 스카이라운지 등 커뮤니티 시설도 들어설 계획이다.

분양 관계자는 "송도11공구는 공동주택과 산·학·연 시설, 워터프런트 등 송도국제도시 내에 또 하나의 새로운 신도시가 생기는 것"이라며 "송도11공구에서 첫 분양하는 매머드급 단지인 만큼 입주가 완료되면 지역 랜드마크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