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딥페이크 성범죄 확산 통로로 텔레그램이 악용됐다는 논란이 불거졌음에도 국내 이용자 수와 앱(APP) 신규 설치 건수 모두 올해 최고치를 경신했다. 텔레그램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게 앱 이용 증가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관측된다.
4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텔레그램 모바일 앱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347만1421명으로 집계됐다. 전월(316만291명) 대비 9.8% 늘었다.
일일 활성 이용자 수(DAU)도 늘어나는 추세다. 텔레그램을 통한 딥페이크 음란물 유포 사건이 지난달 19일 이후 공론화됐는데 같은달 26일 DAU는 150만1087명을 기록하며 올해 첫 150만명대를 돌파했다. 앱 신규 설치 건수도 늘어 지난달 34만3492건을 집계됐다. 전월 대비 39.4% 는 증가했다.
또 다른 앱 분석 기관인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서도 텔레그램 앱 신규 설치 건수가 증가한 모습을 나타냈다. 이 기관이 집계한 지난달 텔레그램 앱 신규 설치 건수는 45만1632건이다. 올해 기준 최대치로 전월 대비 43% 늘었다.
일각에서는 이번 딥페이크 성범죄 확산 사건이 텔레그램의 익명성과 비밀 보장 특징을 부각하면서 이용자 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한다. 텔레그램은 보냈던 메시지를 흔적 없이 지울 수 있고 하나의 대화방에 수십만명이 들어올 수도 있다.
그동안 텔레그램은 철저한 암호화와 익명성으로 세계적인 플랫폼으로 성장세를 이어왔다. 국내 메신저 시장에서는 2014년 박근혜 정부 당시 민간인 사찰 논란이 벌어지면서 인기가 높아졌다.
텔레그램이 해외 기업이 운영하는 메신저라서 사법기관 요청에도 조사가 진행되지 못한 인식이 퍼졌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최근 불법 합성 음란물 등 성 착취물을 공유·유포하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활용됐으며 마약 매매 등 각종 범죄에도 악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