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3일 중국 방문 첫 일정으로 충칭 임시정부 청사를 방문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신을 잇겠다고 밝혔다.
충칭은 1940년 9월부터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마지막으로 자리했던 곳으로, 이곳에서 김 지사는 독립운동의 역사를 되새겼다.
김 지사는 충칭 임시정부 청사에서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했던 '독립공채' 등 역사적 사료를 관람하고, 방명록에 "'국민이 행복한 민주공화국' 임시정부의 꺾이지 않은 열망을 1420만 경기도가 이어가겠습니다"라고 적었다. 이날 김 지사는 김구 임시정부 주석 흉상에 헌화하고 묵념한 뒤 역사관과 전시실을 둘러봤다.
김 지사는 청사 내에서 독립유공자 후손들과 간담회를 열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 자리에는 이달 선생(건국훈장 독립장)의 딸 이소심 씨, 유진동 선생(애국장)의 아들 유수동 씨, 김동진 선생(애족장)의 딸 김연령 씨가 함께했다. 이소심씨는 충칭 임시정부 청사를 되살려낸 인물이다.
해방 이후 철거 위기에 놓였던 건물은 이 여사의 노력으로 한국과 중국 간 복원 협정을 통해 역사적 가치를 계속해 지닐 수 있게 됐다. 한중우호관계를 상징하는 지금의 임시정부 청사는 1995년 원형대로 복원을 완료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가 독립유공자 후손들을 잘 모시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도의 정책을 설명했다. 경기도는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독립운동가 80인을 선정하고, 경기도 독립기념관 건립을 준비 중에 있다. 독립유공자 후손에게는 주거안정을 위해 2000만원을 지원하는 사업을 펼치고 있다.
김 지사는 "역사를 잃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면서 "자랑스러운 독립운동을 포함한 선조들의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대한민국에 미래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