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소년 문해력 논란이 생각보다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초·중·고 교원 5848명을 대상으로 '학생 문해력 실태'를 물은 결과 응답자의 91.8%가 "문해력이 과거보다 떨어졌다"고 답했다.
학년 수준 대비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답한 교원은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48.2%다. '31% 이상'이라는 답변은 19.5%다.
어려운 단어나 한자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적은 교원은 전체의 67.1%였다.
주변 도움 없이 교과서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답한 교원은 30.4%, 문제를 이해하지 못해 시험을 치르기도 어려운 학생이 '21% 이상'이란 답변은 21.4%가 나왔다.
학생 문해력 저하 원인으로는 '스마트폰·게임 등 디지털매체 과사용'(36.5%)이 1위로 꼽혔다. '독서 부족'(29.2%), '어휘력 부족'(17.1%), '기본 개념 등 지식 습득 교육 부족(13.1%)' 등이 뒤를 이었다.
교원이 겪은 황당한 사례도 있다. 일례로 주관식 답변 중 "족보를 '족발보쌈세트'라고 알고 있었다" "'사건의 시발점이다'고 했는데 왜 선생님 욕하냐고 했다" "사기저하의 '사기'가 남을 속이는 행위로 이해했다" "금일을 금요일로 착각했다" "이부자리를 별자리로 생각한다" 등이 있다.
이를 두고 교총은 "문해력 저하는 학습 능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향후 사회생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며 "한국 전체 문맹률이 1~2%대로 매우 낮다고 하지만 문해력과는 별개"라고 짚었다.
이번 실태조사 문항은 오지선다(①5% 이하 ②6~10% ③11~20% ④21~30% ⑤31% 이상)로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