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방부가 성소수자 커밍아웃을 이유로 강제 전역시킨 예비역 824명에게 명예 제대 자격을 수여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미국 국방부가 성소수자 커밍아웃을 이유로 강제 전역시킨 예비역 824명에게 명예 제대 자격을 수여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미국 국방부가 성소수자 커밍아웃을 이유로 강제 전역시킨 예비역 824명에게 명예 제대 자격을 줬다.

지난 15일(현지시각) 뉴욕타임즈(NYT)와 워싱턴포스트(WP) 등 외신에 따르면 미 국방부는 로이드 오스틴 미국방장관 지시에 따라 성소수자 강제 전역 사례 2000여건을 검토해 이같이 조처했다.


오스틴 장관은 "복무하기 위해 손을 들었지만 그들이 사랑하는 대상 때문에 거절당한 용감한 미국인들을 포함, 모든 병력의 희생과 봉사를 계속해서 기릴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미국은 '묻지도 말하지도 말라'(Don't ask, don't tell) 정책에 따라 군인이 성적 지향을 공개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 제도가 시행된 1994년부터 2011년까지 강제로 제대한 미군은 약 1만3500명으로 추산된다.

이들 대다수는 명예 전역을 했지만 약 2000명은 불명예 전역 처리가 되며 연금과 주택담보대출, 의료 및 장애 관련 지원 등 혜택을 받지 못했다.


이에 미국 일부 단체는 이날 미 국방부의 발표를 두고 "차별에 직면해 군을 떠나야 했던 예비역 장병들에 대한 더 확실한 조처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