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숲과 한강에 둘러싸인 서울 성동구 성수동 '삼표레미콘 부지' 개발사업의 사전 협상이 완료됐다.
서울시는 19일 '삼표레미콘 부지 도시계획변경 사전 협상' 절차를 완료해 민간에 통보했다.
해당 부지는 1977년부터 약 45년 동안 레미콘 공장이 운영됐다. 2017년 서울시·성동구·삼표산업·현대제철 간 업무 협약을 통해 기존 시설 철거가 합의됐다. 철거가 완료된 2022년 8월부터 현재까지 성동구가 문화공연장 등으로 임시 활용 중이다.
이번 사전 협상 결과에 따라 삼표레미콘 부지에는 연면적 44만7913㎡ 업무시설과 숙박시설, 문화·집회시설, 판매시설 등을 포함한 지상 77층 복합시설이 들어선다.
시는 이곳에 서울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를 조성할 계획이다. 시는 2023년 국제현상 설계공모로 두바이 부르즈 할리파와 63빌딩 등 국내외 유명 건축물을 설계한 '스키드모어, 오잉스 앤드 메일(S.O.M)'사를 설계사로 선정했다.
서울숲과 삼표레미콘 부지 간 자연스러운 연결을 위해 '입체보행공원(덮개공원)'과 지하 보행 통로를 신설한다. 주요 연결 지점에 공개 공지와 공유 공간도 조성한다. 건축물 저층에 조성되는 녹지 공간과 최상층 전망대는 시민에게 개방한다. 한강과 서울숲을 조망할 수 있는 명소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번 사전 협상을 통해 확보한 6054억원 규모 공공기여는 서울숲 일대 상습 교통 정체 완화를 위한 기반 시설 확충과 '유니콘 창업허브' 등 시설 조성에 투입된다.
확보액 중 약 4424억원 상당(73.1%)은 동부간선도로-강변북로, 성수대교 북단램프 신설 등 인접 지역 기반 시설 확충에 활용된다. 연면적 5만3000㎡ 규모 유니콘 창업허브는 유망 스타트업의 고속 성장을 지원하는 전문 창업 시설로 조성된다.
공공시설 설치 제공 외 공공기여 부분인 약 1629억원은 설치 비용(현금)으로 받아 서울숲 일대 재정비 등에 활용한다. 사전 협상 결과는 향후 지구단위계획 결정 등 법정 절차를 거쳐 보다 구체화될 예정이다. 시는 건축위원회 심의, 인허가 등을 거쳐 이르면 내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삼표레미콘 부지 개발과 서울숲 일대 재정비를 통해 서울의 새로운 명소가 탄생할 것"이라며 "성수가 글로벌 업무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