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 활주로에서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양사 항공기가 오가고 있다. /사진=뉴시스
인천국제공항 활주로에서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양사 항공기가 오가고 있다. /사진=뉴시스

한국산업은행은 아시아나항공이 오는 26일 정책자금 잔여 대출금 1조3800억원을 전액 상환할 예정이라고 25일 밝혔다.

대한항공과 기업결합 완료 후 아시아나의 재무구조 개선과 신용도 상승에 따른 것이다. 향후 아시아나는 대한항공의 자회사로 경영정상화의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또 채권단은 아시아나 정상화를 위해 투입된 정책자금 3조6000억원을 전액 회수할 수 있게 됐다.


앞서 아시아나는 2019년 회계이슈 등으로 인해 시장조달 기능이 악화됐다. 2020년 코로나19 펜데믹의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여객 수요 급감했다.

아시아나는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2019년 1조6000억원, 2020년 2조원, 총 3조6000억원을 채권단으로부터 지원받았다. 현재까지 순차적으로 상환해 1조3800억원의 정책자금 대출이 남았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이 원활히 이뤄지면서 정부는 공적자금 회수를 서둘렀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12월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방식으로 아시아나 신주 1억3157만8947주(지분율 63.9%)를 취득해 최대 주주로 올라섰다. 매각 대금은 1조5000억원으로 아시아나항공은 이 돈을 공적자금 상환에 쓴 것으로 보인다.


산업은행은 "대한항공·아시아나의 기업결합을 통해 아시아나에 대한 지원금을 전액 회수하고 고용안정 및 국내항공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첫걸음을 내딛었다"며 "향후 통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과제에 대하여 항공산업의 발전 차원에서 지속 모니터링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산업은행은 지난 2020년엔 아시아나 인수 추진을 위해 대한항공 지주회사인 한진칼에 8000억원을 지원했다. 이 자금의 회수 시기 및 방법은 미정이다. 산은은 합병 후 통합(PMI)이 문제없이 이뤄지는지를 우선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산은은 지난해 12월 기준 한진칼 지분 10.58%를 보유 중이다. 조원태 회장 및 특수관계인 지분율은 19.95%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