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는 지난 26일 영상회의실에서 '2025년 적극행정위원회' 회의를 열어 적극행정 우수 사례를 선정했다. /사진제공=용인특례시
용인특례시는 지난 26일 영상회의실에서 '2025년 적극행정위원회' 회의를 열어 적극행정 우수 사례를 선정했다. /사진제공=용인특례시

용인특례시가 신규 생활 폐기물 소각장 입지 선정 문제를 해결한 사례를 가장 우수한 적극행정으로 뽑았다.

용인시는 지난 26일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2025년 제1회 적극행정위원회'를 열고, '2025년 상반기' 적극행정 우수사례로 꼽은 7건을 심사해 우수 등급 3건, 장려 등급과 노력 등급을 각각 2건씩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선정은 용인시가 생활폐기물 소각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신규 소각장 입지 선정에 어려움을 겪던 문제를 주민과의 적극적인 소통과 정보 제공을 통해 해결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해당 사례는 시가 추진 중인 자원회수시설 가칭 '용인그린에코파크' 후보지 선정 과정에서 소각장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고 생활폐기물 소각장 필요성에 대해 지역주민과 적극 소통해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시는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 용인환경센터에서 일 최대 300톤, 수지구 풍덕천동 수지환경센터에서 일 최대 70톤의 생활폐기물을 처리했지만, 시설의 노후화와 도시의 급격한 규모 확장으로 생활폐기물 처리시설의 확충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시는 2030년까지 하루 평균 720톤의 폐기물을 처리해야 할 것으로 내다보고 신규 생활폐기물 처리시설 확충을 진행했지만, 부정적 여론에 설립 대상지 선정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시 자원순환과 자원시설관리팀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소통의 자리를 마련하고, 선진시설 견학과 사례소개를 통해 부정적 인식 해소에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지난해 12월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에 신규 생활폐기물 처리시설 입지를 마련하는 성과를 거뒀다.

신규 생활폐기물 처리시설인 '그린에코파크' 설립을 위해 시는 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이옥신 등 환경물질을 엄격하게 관리하고, 500억원을 투자해 복합문화체육시설과 전망타워, 물놀이장, 수영장, 전시실을 갖추고, 시민 편의를 높이기 위해 상·하수도 시설과 도로인프라도 구축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광역 긴급차량 우선 신호시스템 구축으로 시민 생명 골든타임을 확보하다'도 적극 행정 우수등급으로 선정됐다. 또한, 글로벌 반도체산업 중심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제도 개선도 적극 행정 우수등급을 받았다.

이상일 용인시장은 "사소한 문제라도 소홀히 지나치지 않고 개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고, 새로운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시민을 위한 우수한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시민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심도 있는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