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업용 전기요금 상승으로 기업 부담이 커진 가운데 국내 제조업 기업 10곳 중 4곳은 한국전력 전기가 아닌 새로운 전력 조달 방식을 시도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AI) 발전에 대응하기 위해 분산형 전원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도 10곳 중 7곳이 넘었다.
3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제조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전기요금과 전력시스템에 대한 기업의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시 자가발전소를 세우거나 전력도매시장에서 전기를 구매하는 등 상대적으로 더 저렴한 방안을 시도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그렇다'고 응답한 기업이 11.7%, '지금은 아니나 요금이 더 오른다면 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27.7%로 조사됐다.
이는 산업용 전기요금의 지속적 인상으로 경우에 따라 자가발전소를 세우거나 전력도매시장에서 전력시장가격(SMP)으로 전기를 구매하는 게 더 저렴한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전기요금 인상 추이를 보면 2000년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주택용 요금이 42% 오르는 동안 산업용 요금은 227% 인상됐다.
산업용 요금은 성장의 원천인 기업의 역할을 고려해 주택용보다 낮게 책정된다. 과거 우리나라도 산업용 요금이 주택용보다 낮았다. 하지만 2000년 이후 총 24차례 인상에서 산업용 요금이 19차례 오르면서 2023년 산업용 요금이 주택용 요금을 역전했다. 2023년 4분기와 2024년 4분기에는 산업용 요금만 인상해 차이가 더 커졌다.
AI가 발전하면서 전력을 많이 쓰는 데이터 센터와 반도체 공장 등이 늘어나는 데 대응해 필요 전기를 지역에서 생산해 쓰는 '분산형 전원시스템 도입'에 대해 '동의한다'는 기업이 74.3%로 나타났다.
분산형 전원시스템이 도입돼 지역 내에서 전력을 직접 거래하게 될 경우 우선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는 '공급안정성'(49.3%)이 가장 많았다. 이어 '판매가격'(39.3%), '전기를 만드는 에너지원의 친환경'(9.7%), '계약기간'(1.7%) 등이 뒤를 이었다. 반도체와 AI 등 미래 첨단 산업에 대한 할인 요금제, 전력적시공급 등 별도의 전력 공급 지원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응답도 84.7%에 달했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우리는 에너지를 거의 수입하고 수출이 중요한 나라인 만큼 에너지 효율 개선과 산업 활동을 지원하는 전력시장이 뒷받침돼야 지속성장이 가능하다"며 "미래 첨단 산업 발전과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기요금 책정과 전력시스템 구축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