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이 5조원 가까이 급증한 가운데 5일 부동산 관계당국이 한 데 모여 부동산 시장을 점검한다. 사진은 지난 3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초·강남권 아파트 일대. /사진=뉴스1
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이 5조원 가까이 급증한 가운데 5일 부동산 관계당국이 한 데 모여 부동산 시장을 점검한다. 사진은 지난 3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초·강남권 아파트 일대. /사진=뉴스1

최근 금융권 가계대출이 5조원 가까이 급증하며 가계부채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5일 부동산 관계당국이 한 데 모여 부동산 시장을 점검하기로 했다. 당국은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제 완화 이후 일부 지역에서 나타나는 시장 과열 반응을 면밀히 살필 전망이다.

5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금융위원회 등은 이날 부동산 시장 점검 회의를 열어 토지거래허가제 완화 영향 등을 점검한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36조7519억원으로, 전월(733억6588억원) 대비 3조931억원 늘었다. 지난 1월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4762억원 줄어 10개월 만에 감소했는데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5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잔액은 지난달 말 583조3607억원으로, 전월(579조9771억원) 대비 3조3835억원 늘었다. 지난해 하반기 5대 은행의 주담대 증가액은 ▲10월 1조923억원 ▲11월 1조3250억원 ▲12월 1조4697억원 ▲1월 1조5137억원 등으로 5개월째 1조원대를 유지했으나 최근 2배 넘게 늘어났다.

금융권에선 5대 은행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이 지난달 5조원가량 증가한 것으로 파악한다. 연초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이 급증한 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 수요가 폭증했던 2021년 2월 9조7000억원 이후 4년 만이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증가와 관련해 은행권이 지난해 4분기에 중단했던 대출 영업을 새해부터 일부 재개한 영향으로 봤다. 3월 새 학기 이사 수요 증가와 최근 서울시의 '잠실·삼성·대치·청담'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도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

이에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토지거래허가제 완화 등의 부동산 시장 영향을 점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까지 정부는 수도권 일부 지역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가계대출 영향이 크지 않다고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가계대출이 더 많이 늘어날 경우를 대비해 신규 주택 구입 목적의 주담대를 제한하거나 갭투자(전세를 끼고 집을 매수)를 방지하기 위한 조건부 전세대출 등을 시행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힐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