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서울 강남구·서초구·송파구 등 이른바 '강남 3구'를 중심으로 아파트 매매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향 안정세를 보이던 서울 아파트 시장이 다시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안도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동남을)이 한국부동산원의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최근 강남 3구를 중심으로 아파트 매매가격이 상승했다.
2025년 3월 첫째 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주 대비 0.14% 상승했다. 지난해 8월 둘째 주(0.32%) 이후 둔화되던 매매가격지수 상승률은 올해 1월 0%대로 하락했지만 지난 2월부터 반등해 0.1%대 상승률을 보였다.
강남구·서초구·송파구 등 강남지역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3월 첫째 주 기준 매매가격지수는 ▲강남구 0.46% ▲송파구 0.62% ▲서초구 0.59% 상승하며 서울 전체 상승률을 상회했다.
강남구와 송파구는 2022년 1 월 전고점에 도달한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가격 상승세는 '강남 3구' 주변 '마용성'으로 확대되며 마포구와 용산구도 전주대비 0.12% 와 0.10% 올랐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의 급격한 상승 원인으로는 지난 2월 시행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지목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송파구와 강남구의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아파트 305곳 중 291곳을 지정 해제한 직후 강남지역을 중심으로 가격지수가 상승했다.
지난 2월10일 기준 강남구와 송파구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각각 0.08%, 0.14%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된 직후인 같은 달 17일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상승률은 강남구 0.27%, 서초구 0.36%로 확대됐다.
안도걸 의원은 "토지거래허가제가 해제되면서 서울 강남 아파트 가격이 급등했다"면서 "기준금리 인하를 앞두고 서울시가 강남지역 토지거래허가제를 해제한 것은 성급한 판단"이라고 지목했다.
이어 "정부는 강남 아파트 가격 급등이 마용성에서 서울 전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부동산 시장 동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하다면 대출 규제 등 선제적 대응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