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발주하는 모든 공사에 스마트 건설 기술을 적용, 품질 개선에 나선다.
13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형 건설정보모델링(BIM) 설계 기준을 시행해 2030년까지 시가 발주하는 모든 공사에 스마트 건설 기술을 적용한다.
BIM이란 계획·설계·조달·시공·유지관리 등 건설공사 전 단계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3D 모델에 반영해 단계별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이다. 스마트 건설 기술의 핵심이 되는 기술로, 건설 과정의 생산성과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다.
시는 신규 발주하는 대형 공사인 턴키 등 기술형 입찰공사·민간투자 사업에 대해 설계단계부터 BIM을 적용하는 방안을 이달부터 즉시 시행한다. 총공사비 300억원 이상은 2027년부터, 총공사비 100억원 이상은 2029년부터 적용을 검토한다. 해당 공사의 감리도 BIM 데이터를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 건설기술을 활용하도록 하고 적정 대가를 반영할 예정이다.
신규 발주 대형 공사 외에 기존 공공인프라에 대한 유지관리에도 스마트 건설기술이 적용된다. 이를 위해 한강 교량 대상 드론 자동 측량,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스마트 유지관리 시범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중장기적으로 터널, 상·하수도, 공공건축물 등의 시설까지 서울형 스마트 유지관리 체계를 적용할 계획이다.
김승원 서울시 건설기술정책관은 "혁신 기술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서는 초기 과감한 투자와 시도가 필요하다"며 "적정한 대가를 반영해 업계 부담은 최소화하고 시행 과정에서의 문제점 등은 모니터링, 관련 전문가 의견 청취 등으로 지속해서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