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첫 액화수소 플랜트 운영업체인 하이창원이 채무 불이행(디폴트) 상태에 빠지면서 이에 대한 책임 공방이 격화되고 있다. 특히 사업의 구조적 문제와 행정적 실책이 뒤엉키면서 창원 지역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창원 액화수소 플랜트는 2021년 친환경 에너지 전환의 일환으로 시작됐다. 창원시와 경상남도, 한국산업단지공단이 270억원을 투자하고 두산에너빌리티와 금융권이 각각 70억원과 710억원을 조달해 총 950억원 규모로 추진됐다. 하지만 사업 초기부터 자금 운용과 투자 방식에 대한 논란이 지속됐다.
특히 창원시와 경남도가 투자한 100억원이 보조금 형태였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보조금은 특정 기업 투자에 사용될 수 없다는 법적 제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사업이 추진된 것이 구조적 불법을 초래했다는 것이다.
홍남표 창원시장은 지난 19일 오후 기자회견을 통해 "하이창원 설립 과정에서부터 불법적인 요소가 있었다"며 전임 시장 측의 책임을 강조했다. 그는 "이 사업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려면 창원시가 일정량의 액화수소를 구매해야 했는데 결과적으로 시 재정 부담이 커지는 구조로 설계됐다"고 지적했다. 또한 "사업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현재까지도 준공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법적 대응을 포함한 해결책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창원시의회 소속 의원들은 앞서 홍 시장이 사태를 방치하며 위기를 키웠다고 비판했다. 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홍 시장이 올해 1월 준공된 액화수소 플랜트를 인수하지 않고 방치해 사태를 악화시켰다"며 "무책임한 행정으로 인해 창원시와 경남도가 투자한 공적 자금 270억 원이 회수 불가능한 상태에 놓였다"고 주장했다.
창원 액화수소 플랜트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사업 구조의 재검토와 법적 문제 해결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홍 시장과 시의회의 대립이 지속되는 한 실질적인 해결책 마련이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