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미국 에너지부(DOE)의 한국 민감국가 분류가 15일부터 발효된 것에 대해 지정 해체를 위한 소통 중이라고 말했다. 사진은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지난달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문제와 관련 긴급 현안보고·질의를 위해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보고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정부는 미국 에너지부(DOE)의 한국 민감국가 분류가 15일부터 발효된 것에 대해 지정 해체를 위한 소통 중이라고 말했다. 사진은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지난달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문제와 관련 긴급 현안보고·질의를 위해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보고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정부는 미국 에너지부(DOE)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분류한 것에 대해 지정 해제를 위한 소통을 지속 중이라고 밝혔다.

15일 뉴스1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 미국 정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분류한 것이 공식 발효된 것에 대해 "한·미는 지난달 20일 미국 에너지부 장관과의 회담에서 절차에 따라 조속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어 "정부는 관계부처와 함께 미국 에너지부 국장급과의 실무협의 등 적극적인 교섭을 지속하고 있다"며 "하지만 이번 사안은 미국 측 내부 절차에 따라 진행되는 것으로 (해제까진) 좀 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최근 양국 국장급 실무협의에서 미국 에너지부는 민감국가 지정이 현재 진행 중이거나 향후 추진하는 한·미 연구·개발(R&D) 협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재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지난 1월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것을 지난달에 알게 됐다. 정부는 미국과 즉각 교섭을 시작했지만 발효 전 지정 해제를 관철하지 못했다. 이에 한·미 원자력, AI, 핵 분야에서 기술 협력에 제한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