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10일 오전 경남 창녕군 창녕읍 창녕정기시장에서 시민들을 향해 인사하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사진=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대한민국을 항공·방위·우주산업 강국으로 만들겠다"며 K-공항 모델의 전폭 지원과 방산 수출 기업 R&D(연구개발) 세액 감면 등을 약속했다.

이 후보는 1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항공·방위·우주산업은 부가가치가 높고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첨단 미래산업의 대표적인 핵심 산업"이라며 "민간과 방위산업이 함께 키운 '하늘길' 산업을 더욱 발전시키고 우주로 확장해 새로운 성장의 기회를 열 것"이라고 밝혔다.


우선 국내 항공 MRO(보수·수리·정비)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고 부품·정비·공항서비스 등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항공 정비 부품은 국산화하고 항공 분야 R&D를 지원해 기술 역량을 높이겠다"며 "국제협약 가입이나 관세법 개정 등으로 항공기 부품 원가를 낮추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사천과 인천을 MRO 세계 산업 거점으로 키우겠다고도 했다. 이 후보는 "사천은 군용기와 부품 제조 중심으로 인천은 해외 복합 MRO 중심으로 특화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K-공항 모델 수출 지원도 약속했다. 이 후보는 "공항의 건설부터 운영, 서비스까지 통합 수출할 수 있도록 국가가 주관하고 전문기업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을 구성해 해외 시장을 선점하겠다"고 설명했다.


미래 교통수단인 K-UAM(도심항공교통) 산업 육성도 언급했다. 이 후보는 "이전 정부에서 보여주기에 그쳤던 K-UAM의 상용화 일정을 현실화하고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김포공항 혁신지구를 UAM 허브로 적극 추진하겠다고 했다. 또 K-UAM 지자체 시범 사업과 공공셔틀·관광·공공 실증화 사업에 대한 국가 지원도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전했다.

방위 산업과 관련해서는 첨단 국방 AI(인공지능) 기술 기반을 구축해 항공기, 미사일, 위성 등 전후방 산업을 육성하겠다고 했다. 또 방위산업 소재·부품 국산화를 촉진해 기술 자립도를 높일 방침이다. 이 대표는 "KF-21 후속 차세대 전투기와 독자 기술 기반의 항공기 엔진을 개발해 자주국방을 실현하겠다"고 했다.

방위산업 수출기업에는 R&D 세액 감면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 대표는 "세액감면을 통해 기업경쟁력을 확보하고 방위산업 중소기업 지원도 강화해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겠다"고 주장했다.

경남 우주항공국가산업단지를 글로벌 우주항공 중심지로 키우겠다고도 했다. 이 후보는 "우주청 청사는 조기에 완공하고 진주와 사천지구에 우수 인재와 기업이 모일 수 있도록 정주 환경 조성을 적극 지원하겠다"며 "고흥의 발사체 산업도 더욱 발전시키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후보는 이틀째 영남 지역을 돌며 험지 공략을 이어갈 계획이다. 민주당에 따르면 이 후보는 이날 경청 투어 '영남 신라벨트편' 이틀째를 맞이해 경남 창녕·함안·의령·진주·사천·하동을 방문한다.

특히 이 후보는 경남 진주 한 카페에서 문형배 전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의 은사로 알려진 김장하 선생을 만난다.

이 후보는 전날엔 경북 지역을 찾아 투표를 독려했다. 이에 공보단 관계자는 "이날도 골목골목을 돌며 지역 발전에 필요한 목소리를 가감 없이 경청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