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민의 이동 패턴과 소비 흐름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빅데이터 정보 서비스가 일반에 공개돼 행사 기획자, 소상공인, 예비 창업자 등에게 유용한 길잡이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기도는 자체 운영 중인 '경기도 공공데이터플랫폼 경기데이터드림(data.gg.go.kr)'에 통신·카드·교통 데이터를 활용한 신규 정보 서비스 2종을 추가했다고 14일 밝혔다.
공개된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월 한 달간 경기도민의 주요 이동 수단은 차량, 노선버스, 도보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단별 평균 체류 시간은 차량이 40분으로 가장 길었으며, 도보 37분, 노선버스 30분, 기타 27분, 지하철 22분 순으로 분석됐다.
소비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시간대는 3월 11일 화요일 오전 9시부터 10시 59분 사이로, 이 시간 동안 총 2,026억 원의 소비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소비가 가장 저조했던 시점은 3월 16일 일요일 아침 7시부터 8시 59분 사이로 122억 원에 그쳤다. 요일별 소비액을 살펴보면 화요일이 5637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일요일이 4369억원으로 가장 낮았다.
이번에 새롭게 공개된 서비스는 ▲경기도 생활이동 소비분석 상황판 ▲경기도 실시간 방문소비 현황지도 등 2종이다. 경기도는 KT 통신 데이터와 KB국민·BC·하나·롯데·삼성 등 주요 카드사 데이터를 분석 및 시각화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도민의 이동 경로와 소비 데이터를 결합한 '생활이동 소비분석 상황판'은 지역별 유동인구, 인구 이동, 소비 특성을 일 단위로 분석·제공한다. 한 달 누적 데이터로 이동량과 소비가 집중되는 지역을 파악할 수 있다.
'실시간 방문소비 현황지도'는 경기도 주요 지역의 5분 단위 인구 밀집도와 1시간 단위 소비 데이터를 지도 기반으로 시각화해 제공한다. 인구 집중 지역과 소비가 활발한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나들이·이동 경로 조정이나 행사 밀집도 관리, 상권 분석 등에 유용하다.
모든 서비스는 경기도 공공데이터 포털 '경기데이터드림'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현재는 2025년 1~3월까지 월별 생활패턴 상황판이 공개돼 있다. 4월 분석 결과는 오는 6월쯤 공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