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검찰에 조사 불출석 의견서를 제출한 가운데 검찰이 체포영장을 검토할 지 이목이 쏠린다. 사진은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해 10월 싱가포르 동포 초청 오찬 간담회에 참석한 모습. /사진=뉴시스

검찰이 공천 개입 의혹에 연루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에게 출석을 통보했으나 김 여사는 대리인을 통해 검찰 조사에 응하기 어렵다는 의견서를 전했다.

14일 뉴스1에 따르면 당초 이날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공직선거법 및 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를 받는 김 여사의 피의자 신분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전날 김 여사 측이 조기 대선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불출석 의견서를 검찰에 제출하면서 조사가 불발될 전망이다.


지난 2월 창원지검에서 명태균씨 사건 중 일부를 넘겨받은 수사팀은 김 여사 측에 대면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전달했다. 하지만 김 여사 측에서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자 14일 출석하라는 출석 요구서를 전달했다. 이에 불출석 의견서로 대응한 김 여사 측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파기환송심 등 그와 관련한 재판들이 모두 대선 뒤로 연기된 점, 뇌물 혐의를 받는 문재인 전 대통령이 검찰 대면조사 없이 재판에 넘어간 점 등을 이유로 들었다.

검찰은 김 여사가 소환에 불응하면 추가 소환 통보를 검토할 전망이다. 일반적으로 수사기관은 소환 통보를 3회 불응할 경우 체포영장 등 강제구인에 나선다.

김 여사는 2022년 대선 당시 정치 브로커 명씨에게 무상으로 여론조사를 받고 그 대가로 같은 해 6·1 지방선거 및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이 경남 창원의창 지역구에 공천받도록 영향력을 행사한 의혹을 받는다. 또 같은 선거에서 포항시장과 평택시장 등 후보 공천에 개입하고 지난해 6·3 총선에선 김상민 전 검사를 경남 창원의창 지역구에 출마시키려고 공천에 개입했다는 의혹도 있다.


수사팀은 명씨와 김 여사의 텔레그램 연락 내용과 지난해 2월18일~3월1일 김 여사와 김 전 의원 사이 오간 통화·문자를 확보했다. 지난달에는 김 전 검사와 명씨, 김 전 의원 등 관련자들을 잇달아 조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