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2일 오전 '규제혁파로 금융을 새롭게'라는 기치 아래 현장회의를 열고 자본시장 공약을 발표했다. 김 후보는 "경제 대통령으로서 자본시장을 더 크고 튼튼하게 만들겠다"며 "박스피(횡보장)는 끝내고 글로벌 세일즈 대통령이 되겠다"고 밝혔다.
이날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현장 회외에서 김 후보는 ▲배당소득세 분리과세 ▲금융소득 2000만원 이하 장기투자자 원천세율 차등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지수 편입 등을 통한 외자 유치 확대를 약속했다. 그는 "현재 주식 투자자 가운데 30~50대 비중이 64%에 달하고 청년층의 절반도 투자에 참여하고 있다"며 "국민 1400만명이 직접 투자에 나선 만큼 자본시장 안정화와 신뢰 회복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또 ▲기업성장기구 도입 ▲해외 벤처투자 세제 인센티브 확대 ▲물적분할·경영권 변경 시 의무공개매수제 도입 ▲전자주총 의무화 및 의결권 보장 등 주주권 강화책도 밝혔다. 회계부정, 불공정 거래에 대해선 징벌적 과세와 시장 퇴출 수준의 엄정 대응을 예고했다.
안철수 공동선대위원장은 "이재명 후보의 '기축통화 가능성 크다'는 발언은 망상"이라며 "빚을 퍼주는 것이 만병통치약인 양 주장하지만 이는 미래세대를 파산의 벼랑으로 떠미는 도박"이라고 직격했다. 그는 "중국도 실패한 기축통화 지위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이재명 후보의 질러노믹스는 국가 재정과 신용을 인질로 삼는 무책임한 포퓰리즘"이라고 덧붙였다.
나경원 공동선대위원장 역시 "코스피 5000은 신기루"라고 규정하며 "회계 투명성과 불공정 거래 근절 없이는 주가지수 상승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국가부채 우려를 무시한 채 호텔경제론, 기축통화론 등 위험한 발상을 반복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김문수 후보는 장기 연체자 구제, 스타트업 지원,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유연화 등 금융 패자부활전으로 서민과 청년을 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