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려아연과 영풍의 1분기 경영 성적표가 크게 엇갈린 가운데 경영진의 역량 차이가 실적을 가른 결정적 요인으로 지목된다. 고려아연은 최윤범 회장 등의 경영진이 기술 투자·신사업 육성·환경 리스크 대응에 나섰지만 영풍은 사업체질 개선에 소홀한 채 적대적 M&A에만 몰두했다는 분석이다.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고려아연의 올해 1분기 연결 매출은 3조8328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61.4% 증가하며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경신했다. 별도 기준으로도 2조3886억원으로 집계됐는데, 같은 기간 영풍이 기록한 1714억원의 14배에 달하는 규모다.
1분기 연결 영업이익도 전년동기 대비 46.9% 증가한 2711억원을 기록하면서 '101분기 연속 흑자'라는 금자탑을 쌓았다. 이는 1분기 기준 역대 2위에 해당하는 영업이익이다. 별도 영업이익도 272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907억원보다 43% 늘었다.
호실적의 배경에는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기술경쟁력 제고가 있었다. 방위산업 소재로 활용되는 안티모니와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산업에 폭넓게 쓰이는 인듐 등 전략광물의 1분기 판매 실적이 전년 동기 290억원에서 900억원으로 3배 이상 늘었다. 별도 매출총이익의 20%를 기여하면서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
금·은 등 귀금속도 고려아연 실적에 힘을 보탰다. 금 매출은 지난해 1분기 1548억원에서 올해 1분기 3581억원, 은 매출은 5014억원에서 7471억원으로 늘면서 안정적 수익 기반을 형성했다.
이는 고려아연이 운영하는 세계 유일의 '아연·연·동 통합공정'과 회수율 제고 노력의 결실로 풀이된다. 고려아연은 아연과 연정광에 포함된 극소량의 희소금속 12종을 추출하는 능력을 갖췄다. 올해 희소금속 회수율을 품목별로 20~30% 높이는 노력과 기술 혁신, 중국의 수출 통제에 따른 세계시장의 가격 급등세가 함께 작용하면서 수익성 개선의 계기가 마련됐다.
영풍은 실적 부진에 시달려 대비된다. 1분기 연결 영업손실은 56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3% 늘었다. 별도기준 영업손실 또한 50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규모가 5배 커졌다. 제련부문 매출의 84%가 아연괴에 치우치는 등 편중된 생산품목이 실적 악화로 이어진 것으로 관측된다. 제련 수수료(TC) 급락, 아연 시장가격 약세까지 더해지면서 하방 압력이 세졌다.
물환경보전법 위반으로 올 2월부터 4월까지 58일간 석포제련소 조업정지 행정처분을 받으면서 실적이 악화했다. 최근 환경단체와 정치권 사이에서 석포제련소의 영구 폐쇄 주장까지 제기돼 사업 지속 가능성에도 의문이 제기된다.
전자부품 계열사들의 실적도 위축됐다. 영풍 오너 2세 장세준 부회장이 이끄는 코리아써키트는 올 1분기 연결 매출 3546억원, 영업적자 17억원, 순손실 22억원을 기록했다. 시그네틱스, 영풍전자 등의 계열사도 순손실을 겪고 있다.
두 기업이 상반된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영풍이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와 함께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 M&A를 시도하면서 내세운 '기업가치 제고' 명분도 힘을 잃었다는 게 투자업계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