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지 / 씨피엔터테인먼트

(서울=뉴스1) 장아름 기자 = 개그우먼 이수지는 단연 대세 코미디언으로 꼽힌다. 2008년 SBS 공채 10기 개그우먼으로 데뷔한 후 2012년 KBS 공채 27기로 재데뷔했고, 2013년 '황해' 코너로 독보적인 인기를 끌었다. 이후 싸이부터 김고은까지 닮은꼴 외모를 활용한 개인기를 넘어 2021년부터 합류한 'SNL 코리아'까지 접수, '교포 제니'와 '파묘' 김고은, 과즙세연 등 역대급 캐릭터들을 남겼다.

특히 지난해 12월부터 선보인 유튜브 채널 '핫이슈지' 콘텐츠로 놀라운 파급력을 보여줬다. '슈블리맘' '제이미맘' 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인물들을 연기하며 사회적 풍자까지 더해 공감을 얻었고, 그중 교육에 극성인 '제이미맘' 캐릭터는 독보적인 화제성을 자랑했다. 이에 당시 대치동 엄마들의 허영심을 투영한 명품 브랜드 패딩을 기피하는 사회적 현상까지 불러오며 파장을 일으켰다.


이같은 활약으로 이수지는 최근 제61회 백상예술대상에서 방송 부문 여자 예능상을 수상했다. 그는 26일 취재진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계속되는 '열일'에 대해 "스트레스받는 것도 없다"며 "새로운 캐릭터를 만드는 게 너무 재미있는 작업인 것 같다"고 천상 코미디언다운 면모를 보여줬다. 탁월한 코미디 재능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이수지와 만나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이수지 / 씨피엔터테인먼트

<【N인터뷰】 ②에 이어>

-제이미맘 때문에 명품 패딩(몽클레어)을 못 입겠다는 반응도 많았는데.


▶못 입는다 하시는데 계속 착용하시는 분들은 착용하신다. 저랑 다른 비주얼이시더라. (웃음) 해당 (패딩) 브랜드 본사에 계신 분과 만났는데 그분 만나자마자 무릎을 꿇었다, 그분도 무릎을 꿇으시더니 본사에서 너무 좋은 반응이 있다고 하셨다, 걱정 안 해도 된다고 해주셨다. 또 남편들에게 DM을 받은 적이 있다. 한 아이의 아빠인데 '너무 고맙습니다, 아내가 반XXX 목걸이를 사달라 했는데 덕분에 그 소리가 들어갔다'는 아버님 DM을 3개를 받은 적이 있다. 저도 남편한테 사달라고 한 적이 있긴 하다. 나중에 퇴직금으로 사준다고 하더라. (웃음)

-제이미맘, 슈블리맘 등에 공감하는 이유는 풍자적인 캐릭터이기 때문인데, 평소 본인이 생각해 온 과도한 교육열이나 허영심 등에 대한 개인적인 시각을 투영한 것인지.

▶캐릭터를 만들 때는 일상의 다양한 모습들에서 공감대 있는 인물이나 모습들을 담아야겠다 생각을 해서 시작한 거였다. 특별히 메시지를 담아야지 하는 계획은 없었는데 보시는 분들께서 다양하게 해석해 주신 것 같더라. 그런데 보시는 분들이 오해가 있으신 것도 같아서 조심스럽게 발전시켜 나가야겠다고 생각한다.

-결혼, 출산이 커리어에 영향을 미쳤나.

▶결혼, 출산하고 나서 자신감이 붙었다. 처음에 배를 노출한 게 'SNL 코리아'였는데 '왕간다' 님을 패러디하면서 배를 드러냈는데 '이게 되네' 했다. 결혼하고 나서 진짜 안정적이게 됐다. 남편은 어떤 모습이든 사랑해 주니까 자신감이 붙어서 다양한 시도를 더 많이 해보게 된 것 같다.

-남편이 피드백을 많이 해주나.

▶'재미없어' '재미있어'라거나 '오늘 방송에서 이거 좀 안 했으면 좋겠어' 이런 것도 말해 주더라.

-창작에 대한 부담감, 스트레스는 없나.

▶스트레스받고 그런 이런 것도 없다. 새로운 캐릭터를 만드는 게 너무 재미있는 작업인 것 같다.

-린자오밍 이후 정체기도 있었는데.

▶제가 가장 힘든 건 집에서 쉴 때다. 예능을 봐도 웃기지가 않더라. '나도 뭔가를 해야 하는데'라는 생각은 계속 있었던 것 같다. 요즘에 스케줄이 차는 게 저한테는 너무 감사하고 그런 시간이 있어서 이게 또 감사하게 느껴지는 것 같다. 그 시간이 없었으면 지금 이 시간들이 약간 좀 교만할 수 있었겠다는 생각이 들 만큼 되게 값진 시간들이었다. 운 만큼 웃을 수 있는 것 같다.

-대중이 이수지에게 열광하는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나.

▶'SNL 코리아'가 빠르게 이슈들을 바로 선보이는 프로그램인데 거기에 맞춰서 좋은 캐릭터들을 많이 배출해 주신 게 가장 크다고 생각이 든다. 쉬는 시간에 제가 하고 싶었던 일상 속 공감대들을 이렇게 같이 곁들였기 때문에 시너지를 얻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드라마에도 계속 출연해 왔는데.

▶연기에 대한 갈망이 계속 있는 것 같다. 지금은 웃음을 드리지만 나이 50대 지나고 한 십몇 년 정도 흘러서 나중에는 감동과 눈물을 주는 엄마 연기를 해보고 싶다. 개그도 연기의 일부분이지만 감동이나 이런 눈물을 주기 위해서는 공부가 진짜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을 한다. 이런 시간이 차곡차곡 쌓아서 나중에는 엄마를 해보고 싶다. 시청자들이 공감해 주시고 울어주신다면 행복할 것 같다.

-희극 연기는 본인에게 어떤 의미인가.

▶평소 샤이한데 캐릭터나 희극 연기에서 평소 볼 수 없는 다른 에너지를 만들고 있다고 생각한다. 스스로 너무 재밌어서 계속하지 않을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