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지난 1월 중국 딥시크(DeepSeek)의 언어 모델인 R1 출시는 전 세계 기술 지형에 큰 충격을 안겼다. 이 책은 일명 '딥시크 모멘트'로 불리는 이 사건을 통해 AI가 국가 설계와 운영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음을 보여주며, 그 변화의 중심을 다룬다.
R1은 미국 GPT-4o에 필적하는 성능을 수십 분의 1 비용으로 구현했다. 이는 AI 경쟁의 핵심이 자원의 양에서 구조의 효율성으로 전환됐음을 의미한다. R1은 주요 평가에서 메타의 LLaMA, 오픈AI 모델과 어깨를 나란히 했고, 애플 앱스토어 전 세계 157개국에서 다운로드 1위를 기록하며 파급력을 입증했다.
실리콘밸리는 딥시크의 등장에 즉각 반응했다. 오픈AI의 카르파티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저렴한 방식으로 최첨단 AI를 구현했다"고 극찬했다. 엔비디아 주가가 흔들리는 등 AI 기술주 전반에 긴장이 퍼졌다. 미래에셋증권은 딥시크를 "GPT급 성능을 98% 저렴하게 제공한 바겐세일"이라며, 기술력뿐 아니라 비용 구조와 설계 전략이 시장을 좌우할 시대가 도래했음을 강조했다.
중국은 AI를 국가 전략의 중심으로 삼고 체계적으로 준비해 왔다. 연간 50만 명 규모의 AI 인재 양성과 4700개가 넘는 AI 기업 생태계는 중국이 '제2의 딥시크'를 위한 기반을 갖추었음을 보여준다. 스탠퍼드 HAI에 따르면, 중국과 미국 간 AI 모델 성능 격차는 1년 만에 9%에서 1%로 줄었고, 딥시크는 GPT-4 및 Gemini와 거의 동등한 평가를 받았다. 이는 기술 추격이 아닌 발전 속도의 압축이 실현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미국의 반도체 제재가 효과를 잃고 있음도 암시한다.
이 책은 이러한 시스템 단위 혁신을 다룬다. AI가 단순히 기술 진보를 넘어 체제를 설계하고 질서를 새롭게 쓰는 방식의 변곡점을 기록한다. AI가 국가를 어떻게 작동하게 만들고, 기술이 체제를 어떻게 다시 쓰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그 물음의 출발점에 딥시크가 있음을 역설한다.
△ 딥시크 AI 전쟁/ 배삼진·박진호 글/ 광문각출판미디어/ 2만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