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해도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증권사들이 상장 주관에 따른 이익만 추구할 뿐 투자자 보호에 뒷전이라는 지적이 이어진다. 여러 주관사가 국가 성장 동력을 살릴 유망 기업을 발굴해 자금 조달을 지원하기는커녕 단기적 투기 심리를 활용해 '공모가 높이기'에만 혈안이라는 비판이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공모주 주가가 초반 급등 이후 급락하는 데 대해서는 성장기업에 대한 장기투자보다는 이른바 '단타 투기' 심리가 몰린 영향이라는 분석이 뒤따른다. 기업 가치보다 공모가를 높게 정해도 '한탕주의' 투자자들이 몰리니 공모금을 조달하려는 기업과 그들을 고객으로 둔 주관사가 고평가를 이어간다는 지적이다.
주관 증권사로서는 IPO에서 인수·상장 성과 수수료 등 직접 이익뿐 아니라 다양한 영업 확장 기회까지 얻는다. IPO로 쌓은 관계가 이후 유상증자 등 주식자본시장(ECM)이나 대출·채권 등 부채자본시장(DCM), 나아가 해당 기업 관련 고액 자산가 자산관리(WM)까지 이어질 수 있다.
업계에서도 투자자보다 상장사에 기울어진 운동장 문제를 인지하고는 있다. 다만 어쩔 수 없이 기업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는 반응이다. 한 IPO 업계 관계자는 “발행사가 더 높은 공모가를 요구하기도 하지만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가격은 결국 상장 이후 부정적 영향을 준다”며 “가치평가 과정은 투자자 누구나 확인 가능해야 하며 IPO는 투명성과 시장 친화성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관계자는 "상장 뒤 주가가 오르면 기업 고객으로서는 공모금을 더 받을 수 있었다는 불만이 생길 수 있어 주가 상승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 되레 부담스럽기도 하다"고 말했다.
![]() |
금융당국이 주목하는 문제도 'IPO 기업 가치 부풀리기'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IPO 예정 기업 심사를 확대해 가치를 부풀린 기업의 시장 진입을 차단하는 방침으로 업무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감독원은 지난 3월 상장 직후 주가·실적이 급감한 기업에 대한 심사를 강화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그러면서 기술성을 인정받아 상장한 기술특례상장기업도 심사대상에 포함하겠다고 했다.
대표적인 '기업 뻥튀기'로 꼽히는 사례는 2023년 파두 사태다. 파두 상장 뒤 공개된 당해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7%가량 급감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대표 주관사였던 NH투자증권에도 질타가 쏟아졌다. 당국은 이후 대표 주관사에 기업 실사를 의무화했고 오는 9월에는 공동 주관사로 확대할 예정이다.
금융투자협회는 단타 목적으로 공모가를 높게 부르는 기관만 선별하는 주관사에 불이익을 주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하고 있다. 금투협 관계자는 "장기투자를 유도할 수 있도록 수요예측에서 일정 규모 이상 의무보유를 확약한 기관에 공모주 일부를 배정케 하고 이를 달성하지 못한 주관사에 패널티를 부여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