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등우단털파리의 내년 출현을 대비해 철저한 방역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지난 4일 환경부 및 소속기관 직원들이 인천 계양구 소재 계양산을 중심으로 활동중인 러브버그 성체를 제거하기 위해 송풍기와 포충망을 활용해 방제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환경부 제공)

여름철 불청객으로 떠오른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가 최근 급격히 사라졌지만, 내년을 대비해 철저한 방역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은 러브버그 발생 양상을 예측 모델로 분석한 결과 지난 1일 기준 전체 활동의 약 86%가 진행된 것으로 예측돼 7~10일 이내 대부분의 개체가 자연 소멸할 것으로 전망했다.


러브버그 성충은 통상 6~7월에 등장해 일주일 정도 활동한 후 사라지지만 문제는 내년이다. 러브버그의 성충이 이미 수많은 알을 낳고 죽었기 때문이다.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러브버그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알은 300~500개 수준이며 부화 후 유충 상태로 약 1년간 산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내년 같은 시기에 다시 출현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환경부는 과거 곤충 대발생 사례를 고려할 때 7월 이후에도 러브버그 이외에도 대벌레, 동양하루살이, 깔따구, 미국선녀벌레 등 다른 곤충이 언제든 대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24시간 가동하는 비상대응대책반을 운영해 대발생 상황 초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국민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