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신축 아파트 입주물량이 10년 새 최저치를 기록했다.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시스

올해 전국 신축 아파트 입주 물량이 10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향후 2~3년 동안 전국 기준 공급이 부족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서울은 최근 3년 동안 입주 물량이 늘어나는 움직임을 보였다.

1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28만7432가구로 계획돼 2022년(33만6199가구) 대비 4만8767가구(15%) 감소한다.


2022년부터 고금리 영향으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며 새 아파트 인허가와 분양 등이 줄어들고 올해 입주 가뭄으로 이어졌다. 시도별로 보면 광주, 부산, 세종은 50% 이상 감소했다.

광주는 2022년 1만3716가구에서 올해 4820가구로 약 65%, 같은 기간 부산도 2만7077가구에서 1만1418가구로 58% 줄었다. 세종도 3793가구에서 1840가구로 51% 줄어든다.

수도권 중 경기도는 11만3731가구에서 7만3918가구로 3만9813가구(35%), 인천은 4만3079가구에서 2만2602가구로 2만477가구(48%)가 감소한다.


반면 서울은 2만7778가구에서 4만6738가구로 1만8960가구(68%) 늘어난다. 제주는 132가구에서 1493가구로 10배 이상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부동산 업계 전문가들은 입주 가뭄이 앞으로 2~3년 이상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2022년부터 올해까지 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는 만큼 입주 물량은 수년째 큰 폭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아파트 공급 부족이 내 집 마련 대기자의 불안 심리를 자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정부는 양질의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수도권 2·3기 신도시의 유휴부지 등에 주택을 공급하고 공공임대주택 확대, 재개발·재건축(정비사업) 등을 통해 노후 도심의 공급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