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갖은 의혹으로 인한 잡음이 계속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마무리됐으나 학계에서는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논문 표절 의혹과 미흡한 교육 정책·현안 숙지 등 자질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17일 정치권·교육계에 따르면 국회 교육위원회는 전날 이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진행한 가운데 최대 쟁점인 제자 논문 표절·가로채기 의혹을 해명하는 데 집중했다.


이 후보자는 "언론에서 보도되는 것들은 학계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결론"이라며 "대부분 연구가 학생이 학위 논문을 쓰기 전 제가 국가 연구 프로젝트를 수주해서 연구 책임자로 수행한 연구"라고 밝혔다. 이어 "제가 제1 저자가 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논문 연구 초반부는 기획이나 모든 진행을 제가 주도했기 때문에 제자에게 제1 저자를 주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고 판단했었다"며 "제1 저자든 교신저자든 혜택에 어떤 차이도 없지만 교육의 차원, 공정의 차원에서 그렇게(1저자로 나를 등재) 했었다" 주장했다.

'교수가 제1 저자라면 제자가 발표했던 학위논문은 취소가 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충남대에서는 이공계의 경우 교수와 학생이 공동으로 논문을 발표해야 학위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며 "제자와 교수가 공동으로 연구하는 것은 필수"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은 "이공계 논문의 경우 교수, 제자가 공동연구를 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 연구를 수행하는 학생이 제1 저자가 된다. 이 후보자는 연구노트를 직접 쓰지 않고도 제1 저자로 이름을 올린 것이 문제"라며 "본인이 1 저자로 올라간 것은 지나친 욕심"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점심시간 이공계 교수들한테 전화가 많이 왔다"며 "내가 연구 과제 수주해서 학생 연구시키고 제1 저자로 만들고 나는 교신 저자를 했는데 이렇게 사는 우리는 바보냐고 하더라"라고 했다.

김건희 여사 논문을 검증해 표절로 결론 내린 '범학계 국민검증단'도 "학생 학위 논문을 활용해 출처를 밝히지 않았다"며 "학회지 논문의 제1 저자로 올린 행위는 교육자로서 용납될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교육 정책 및 현안에 대한 이해도 부족도 논란이다.

이 후보자는 '초·중·고등학교 법정수업일수가 며칠인지 아시나'라는 질문에 "정확히 모르겠다"고 답했다. 초·중·고교 법정수업일수는 190일이다.

전국 1만여 학교에서 교육행정정보를 연계해서 처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물음에는 한동안 답하지 못하다가 "나이스(NEIS)입니다, 나이스입니다"라고 했다.

'유보통합 추진 주체는 어디냐'는 질문에는 "교육청에서 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보통합은 교육부가 주관한다.

AI(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의 법적 지위에 대해 제대로 답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도 여당에서 비판이 나왔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여당 위원인 저로서도 명확하게 납득되지 않는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다"고 운을 뗐다.

고 의원은 "지난 1년간 교육계에서 엄청난 공방이 있던 분야인데 질문을 툭 던지면 후보자의 교육 철학이 술술 나와야 한다"며 "굉장히 실망스럽다"고 지적했다.

전날 청문회 종료 후 이재명 대통령과 여당의 시간이 남았다. 이 대통령은 정무수석실에 설치된 인사청문 태스크포스(RF)를 통해 이 후보자 여론 동향을 보고받고 있다. 민주당은 이 후보자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 여부를 두고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