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범여권에서도 여러 갑질 논란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제자 논문 표절 의혹의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통령실은 향후 여론을 보고 결정하겠다고 방침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16일 브리핑을 통해 '두 후보자에 대한 각종 의혹이 낙마 사유가 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인사청문회 과정을 지켜보고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노동관계법 위반 진정 등 의혹을 사전에 인지했느냐는 물음에는 "더 확인해보겠다"고 말했다.
강 대변인은 '이번주 청문회가 끝나고 결론을 내느냐'는 질문에는 "시점도 사실 고려사항이다. 그 부분에 대해서도 고려가 있을 것"이라며 "아직 시점도 결정된 건 없다. 상황들을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다"고 했다.
여성 단체인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는 전날 "강선우 후보자의 갑질 의혹에 대한 답변은 그 자체로 강 후보자가 누렸던 위력의 양상을 보여준다"며 "후보자의 말과 행동은 장관 후보자로서 기본 자질뿐만 아니라 장관으로서 수행해야 할 역할 인식에서도 부적격자임을 드러냈다"고 비판했다.
성폭력 피해자를 지원하는 한국여성의전화도 "여성가족부 장관으로서 최소한의 자질과 능력은 찾아볼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진보당과 민주노동당 등 진보 진영에서도 강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이진숙 후보자는 이날 오전 청문회 질의를 마친 상황이다. 최대 쟁점은 논문 표절 의혹으로 학계에서도 비판 여론이 거세다. 앞서 김건희 여사 논문 표절 의혹을 검증했던 교수단체 역시 이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측은 전날 "공교육을 책임지기엔 자격이 부족하다"고 일축했다.
이에 이 후보자는 "모든 전문가가 지적하고 있지만 카피킬러를 그냥 돌려서 나오는 (논문 유사율 관련) 내용은 신뢰할 수 없다"며 논문 표절 논란에 반박했다.
그는 "카피킬러는 계속 자료가 같이 겹치기 때문에 유사자료가 겹칠 때마다 유사율이 높아진다"며 "그래서 전문가가 하나씩 (유사논문을) 다 제외해 가며 정확하게 돌려야 진정한 유사율이 나오는 게 정상"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래서 지금 언론에 보고 되는 그런 것은 학계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결론으로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