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대한민국 산업의 미래를 이끌 두 축으로 '첨단 전략산업과 디지털'을 언급하며 디지털자산과 핀테크 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 정비와 회수시장 확충 등의 방향을 제시했다.
권대영 부위원장은 24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핀테크 및 디지털자산 활성화를 위한 벤처투자포럼'에 참석, 축사를 통해 "디지털 전환은 생존의 문제이자 유일한 도약의 길"이라며 "정부는 시장 안정 이후 성장을 통한 도약을 목표로 디지털과 AI 중심의 전략산업에 정책 자원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권 부위원장은 핀테크 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신용평가 모델 혁신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기존 금융은 담보와 소득 기반 정형 데이터에만 의존해왔다"며 "비정형 데이터, 예컨대 음식점 리뷰 평점이나 창작자 아이디어 등 무형 자산을 신용평가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금융위는 기술신용평가모형(XCD)을 개발 중이며 마이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소상공인 전용 모델 구축을 추진 중이다. 권 부위원장은 "AI 기술과 결합된 개인사업자 마이데이터 활용이 현실화되면 맞춤형 금융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했다.
디지털자산 제도화와 관련해선 "안전성과 글로벌 정합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정비 중"이라며 "규제 주체의 명확화와 소비자 보호를 균형 있게 고려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핀테크 산업 활성화의 핵심으로 회수시장 확대를 꼽았다. 권 부위원장은 "혁신적 아이디어가 사업화로 이어지고 투자금이 회수돼야 시장이 선순환될 수 있다"며 "벤처펀드에 자금이 몰리더라도 회수 시장이 막히면 전체가 막힌다"고 진단했다. 정부는 이에 따라 벤처회수시장 육성과 함께 후속 투자시장의 자금 유입을 유도할 방침이다.
아울러 권 부위원장은 "한국은 데이터 기반 내수시장과 글로벌 확장 가능성을 모두 가진 나라"라며 "핀테크와 디지털 모델을 해외 진출까지 고려해 설계하면 더 큰 성과를 낼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보이스피싱, 대포통장 등 사회문제 해결에도 AI 기술과 핀테크가 기여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한국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서 핀테크 생태계가 역할을 하길 바란다"며 "정부도 제도와 규제 개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