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 초안'의 표면 오염물 제거 모습(국가유산청 제공)

(서울=뉴스1) 정수영 기자 = 독립운동과 건국 방침 등이 담긴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 초안'의 손상 부위에 대한 보존 처리가 완료됐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는 국가등록문화유산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 초안'에 대한 보존 처리를 마쳤다고 29일 밝혔다.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 초안'(이하 '건국강령 초안')은 독립운동가이자 정치가인 조소앙(본명 조용은, 1887~1958) 선생이 '삼균주의'(三均主義)에 입각해 독립운동과 향후 국가 건설의 방향을 정리한 국한문 혼용의 친필 문서다. 1941년 11월 28일 임시정부 국무회의에서 일부 수정 후 원안대로 채택됐다. 이후 1948년 제헌헌법의 기본 토대가 됐다.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 초안' 보존처리 전 모습(국가유산청 제공)

건국강령 초안은 총 10장 분량으로, 붉은 계선 안에 조소앙 선생이 먹으로 직접 쓴 글씨와 수정 흔적들이 생생히 남아 있다. 종이를 반으로 접은 자국이 있으며, 접힌 부분과 가장자리에는 찢김, 접힘 등 물리적인 손상이 확인됐다. 특히 손상된 부위에는 임시로 붙인 셀로판테이프가 남아 있었고, 이로 인한 변색도 관찰됐다. 또한 잉크 번짐과 종이의 열화 현상으로 종이 일부가 얇아진 상태였다.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는 "손상 부위에 부착돼 있던 셀로판테이프를 제거하고, 유기용제를 이용해 잔여 접착물을 제거했다"며 "또 산화마그네슘(MgO) 탈산 처리를 통해 종이의 산성도(pH)를 조절하고, 유사한 재질의 종이를 오리나무 열매를 끓여 만든 염액으로 천연염색 해 손상 부위를 보강해 보존 처리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원본 훼손 방지를 위한 액자형 폴더와 보호용 보관 상자도 제작했다.


건국강령 초안은 오는 8월 12일부터 10월 12일까지 덕수궁 돈덕전에서 열리는 특별전 '빛을 담은 항일유산'에서 일반에 공개될 예정이다. 이어 9월 16일부터 21일까지 덕수궁 덕홍전에서는 보존 처리 과정을 조명한 전시도 열린다.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 초안'의 손상 부분 보강작업(국가유산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