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주광역시가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의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위해 중앙합동조사단의 현장조사를 적극 지원하며 전방위 행정력을 투입하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29일 김용균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과 이선무 중앙합동조사단 광주반장을 만나 피해 지역에 대한 신속한 특별재난지역 지정과 실질적 국고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행정안전부가 구성한 조사단은 지난 27일부터 전남 나주스포츠파크에 사무소를 두고 광주 각 자치구의 피해 현장을 중심으로 7일간 조사를 벌이고 있다. 조사단은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에 등록된 피해액과 복구액의 적정성을 검토해 국고지원 대상 여부를 판단한다.
광주시는 조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관련 부서 직원들을 조사단과 1대1로 피해 현장에 동행시키고 현장 상황이 피해 산정에 정확히 반영되도록 행정 지원체계를 가동 중이다.
북구는 특별재난지역 선포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분석돼 지정 가능성이 높은 반면 동구·서구·남구는 국고지원 기준 충족 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이다.
특별재난지역 선포 기준 피해액은 동구·남구가 102억5000만원, 서구·북구·광산구는 122억5000만원이며 국고지원 최소 기준은 각각 동구·남구 41억원, 서구·북구·광산구 49억원이다.
강 시장은 "신안교 주변 등 구조 개선이 시급한 지역에 대해선 중앙정부에 대규모 예산도 요청 중"이라며 "남은 조사 기간 동안 정확한 피해 산정과 복구비 반영률 제고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