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기장군 기장읍에 있는 해수담수화시설/사진=부산시

2000억원을 투입하고도 준공 후 11년동안 가동하지 못하고 있는 기장 해수담수화시설이 공업용수와 그린수소 등을 생산하는 시설로 탈바꿈한다.

부산시는 3일 해수담수화시설 활용방안 마련을 위한 주민보고회를 개최한다. 이번 주민 보고회는 해수담수화시설의 활용 방안을 지역 주민에게 직접 설명해 해수담수화시설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고 공업용수 수요 기업·관련 기관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박형준 시장을 비롯해 정동만 국회의원, 정종복 기장군수, 박종철·이승우 시의원, 박홍복 기장군의회 의장, 고려제강, 효성전기, 금양, 아산이노텍 등 동부산 산업단지 대표 기업과 관련 기관 관계자가 함께 한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해수 담수화시설의 전략적 활용 방안이 소개된다. 제1 계열은 해수 담수화 기반의 실증시설로 조성해 그린수소 생산, 염도차 발전, 농축수 자원 회수 등 미래 물 산업 혁신을 위한 테스트 베드로 활용된다. 제2 계열은 인근 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수를 재이용하는 공업용수 공급시설로 전환해 동부산 산업단지 기업들이 고가의 생활용수 대신 저렴한 공업용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부산시는 한국수자원공사, 고려제강, 효성전기, 금양, 아산이노텍, 부산환경공단, 부산산업단지발전협의희와 '부산 산업단지 공업용수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이번 협약을 통해 관련 기관과 기업이 상호 긴밀히 협력해 동부산 산업단지에 안정적인 공업용수 공급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시는 시설 1·2 계열 활용 사업을 2030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1계열 사업은 환경부와 협력해 절차 이행·사업비 확보·실시설계를 추진하고 2계열 사업은 민간투자(BTO) 방식으로 제안서 접수와 적격성 검토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박형준 시장은 "우리 지역의 중요한 자산인 해수담수화시설을 지속 가능한 물순환 이용과 물 산업 혁신의 플랫폼으로 키워 나가겠다"며 "지역 주민의 의견을 경청하고 반영해 시설이 지역사회와 상생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