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한미 원자력산업 강화 실행방안을 정부에 건의했다./사진=경남도

경남도가 한미 원자력산업 협력 강화를 위해 97조원 규모의 실행방안을 정부에 건의했다. 이번 방안은 국내 원전기업의 안정적 일감 확보와 미국 신규 원전의 적기 건설, 나아가 해외시장 공동 진출을 목표로 한다.

18일 도는 한국의 원전 건설·운영 경쟁력과 미국의 혁신 원자로 기술·내수시장·연방정부 지원정책을 결합한 '팀 코러스(KORUS·Korea+US)' 구상을 내세웠다. 이를 통해 4대 전략과 10대 핵심과제, 22개 세부과제를 담아 총 97조원 규모의 투자를 제안했다. 미국을 비롯한 해외 신규 대형 원전 20기와 소형모듈원전(SMR) 50기 수주, 대미 독자 수출기업 100개 육성, 한·미 공동연구인력 1000명 양성이 목표다.


특히 대형 원전과 SMR을 동시에 겨냥해 미래 원자력산업 공동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핵연료 공급·유지보수·해체 등 전주기 사업까지 협력 범위를 넓힌다. 원전 제조·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원전 제조 파운드리 조성, 제조 특구 지정, SMR 설계 지원, 핵심 장비 국산화, 부품 시험·검사 등 맞춤형 지원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플랫폼과 제작지원센터를 구축해 첨단 제조 생태계 조성에도 나선다.

미국은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으로 2050년까지 원전 발전 용량을 400GW로 확대할 계획이나 건설 경험 부족으로 어려움이 예상된다. 반면 한국은 해외 원전 건설과 운영 경험을 통해 적기 준공과 품질·안전성을 입증,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했다.

윤인국 도 산업국장은 "경남의 제조역량과 한미 기술협력, 금융·인허가 지원을 결합해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 수출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며 "기업은 수주하고 연구자는 성장하며 지역은 함께 번영하는 팀 코러스 모델을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