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IT 기술 발전 등으로 해킹 기술과 수법이 보다 치밀하고 빠르게 진화하는 반면 금융권의 대응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해킹 대응을 위한 과기정통부·금융위 합동 브리핑을 갖고 "보안투자를 불필요한 비용이나 부차적 업무로 여기는 안이한 자세가 금융권에 있지 않았는지 냉정하게 돌아봐야 할 시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앞서 발생한 롯데카드 정보유출 사고와 관련해 "정부는 사고 신고가 이루어진 초기 단계부터 소비자 2차 피해를 방지하고 침해사고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를 신속히 실시해 왔다"며 "이달 1일 침해사고 신고 즉시 롯데카드 측에 강도 높은 소비자 보호 조치를 주문하고 유사 침해 방지를 위한 정보를 전 금융권에 전파했다"고 설명했다.
금융감독원과 금융보안원도 이달 2일부터 즉시 현장조사에 착수해 정보유출 경위와 내용, 보안 위규사항 등을 파악 중이다. 롯데카드는 사고인지 초기부터 부정사용시 선보상, 추가보안인증, 카드 재발급 등 소비자 보호 조치를 취했으며 현재까지 부정사용 피해는 나타나지 않은 상황이다.
권 부위원장은 "롯데카드의 소비자 보호 조치가 차질없이 이뤄지도록 면밀히 관리·감독해 나가겠다"며 "금감원 조사결과에 따라 위규사항 확인시 일벌백계 차원에서 엄정한 제재를 취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의 일련의 사태를 계기로 국민들이 금융회사를 신뢰할 수 있도록 보안실태에 대한 밀도있는 점검과 함께 재발방지를 위한 근본적 제도개선도 즉시 착수하고 금융회사 CEO(최고경영책임자) 책임하에 전산시스템 및 정보보호 체계 전반을 긴급 점검토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보안사고 발생시 사회적 파장에 상응하는 엄정한 결과책임을 질 수 있도록 징벌적 과징금 도입 등 방안을 신속히 추진하겠다"면서 "금융회사가 상시적으로 보안관리에 신경쓸 수 있도록 CISO(정보보호최고책임자) 권한 강화, 소비자 공시 강화 등 다양한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불가피한 침해사고 발생시 금융회사가 신속하게 시스템을 복구하고 즉시에 적절한 피해자 구제에 나설 수 있게 제도개선 과제 발굴·추진계획도 밝혔다.
이어 "AI(인공지능)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해킹 사고라는 암초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정부·금융회사·유관기관이 힘을 합쳐 보안이라는 든든한 체계로 무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