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 해킹사고로 최대 297만 명의 개인정보 및 결제 정보가 유출된 가운데 지난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롯데카드 본사를 찾은 이용자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뉴스1

롯데카드에서 300만명에 가까운 고객의 정보가 해킹으로 유출되면서 최대주주인 사모펀드 MBK파트너스를 둘러싼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다. 최근 정보보안 및 IT투자를 꾸준히 확대했다고 밝혔으나, 주장과 다른 자료들이 연이어 공개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23일 국회 정무위원회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받은 '전업 카드사 총예산 및 정보보호 예산 현황'(연간 편성액 기준)을 보면 롯데카드의 올해 정보보호 예산 편성액은 128억원으로 지난해(151억원)보다 15.2% 줄었다.


MBK가 지난 21일 낸 보도자료의 내용과는 사뭇 다르다. MBK는 자료를 통해 롯데카드의 보안투자가 지난해(117억원)보다 증가했다고 밝힌바 있다. MBK가 롯데카드 보안투자 추이에 대해 거짓 해명을 내놓은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MBK가 롯데카드 정보보호 내부 인력을 증원했다는 주장 역시 도마 위에 올랐다.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용만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낸 자료에는 롯데카드 정보기술(IT) 부문 총인력 대비 정보보호 인력 비중은 2022년 24.6%에서 지난해 13.3%로 11.3%포인트 줄었다. IT 대비 정보보호 예산 비중도 2021년 12%에서 2023년 8%로 낮아졌다. IT 임원 역시 3명으로 전체 임원(45명)의 7% 수준으로 8개 전업 카드사 중 최하위권이다.

보안 투자와 인력, 비중 등을 놓고 논란이 이어지면서 오는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여는 청문회에서도 의원들의 질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김병주 MBK 회장과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가 증인으로 채택됐다.


금융 당국도 롯데카드 고객정보 유출 사태에 대해 최고 수준의 제재를 예고했다. 영업 정지를 포함한 중징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롯데카드 경영진을 넘어 MBK 역시 책임을 피하기는 어려울 거란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