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수입자동차협회(이하 KAIDA)는 21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FKI 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미래 자동차 산업의 주요 화두인 안전과 환경을 주제로 한 창립 30주년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KAIDA 회원사를 비롯해 이상휘 국민의힘 국회의원, 서영태 기후에너지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 국토교통부 자동차 안전정책 관계자, 피에르 밀레트 유럽자동차제조협회(ACEA) 최고 기술책임자(CTO) 등 국내외 주요 인사들과 국내 자동차 제작사 및 자동차 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틸 셰어 KAIDA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협회는 지난 30년간 수입자동차업계가 한국 자동차 시장의 기술 혁신과 다양성을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잡았다"며 "특히 다양성에 있어 한국 시장에서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고 첨단 안전 기술과 파워트레인, 친환경차 분야에서 발전과 다양성을 촉진했고 트렌드 전환을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혁신은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라며 "KAIDA 회원사들은 자율주행, 커넥티드카, 인공지능 기반 차량 관리 등 첨단 기술을 한국 시장에 선도적으로 도입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전동화와 자율 주행 분야는 한국 정부의 정책 로드맵을 고려해 다방면의 검토와 투자가 계획되고 있으며 첨단 자동차 분야 발전을 위한 기술 교류 및 제도적 지원은 한국 자동차 산업을 한단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이날 진행된 정책세미나 1부 행사에서는 국내 자율주행 대표 기업 오토노머스 에이투지(Autonomous A2Z)의 유민상 상무가 '자율주행자동차 현주소와 해외사례를 통한 시사점'이라는 주제로 첫 발표자로 나섰다. 유 상무는 주제발표를 통해 "자율주행차 시대로의 전환과 경쟁력 확보는 자율주행차 생태계 기반 조성에 있어 기업과 학계의 연구와 투자와 노력 그리고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유연한 제도 운영 등 관련 자원의 융합과 협력이 첫 단추"라고 주장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 엄성복 수석연구위원은 '자동차 첨단안전장치의 선제적 적용을 위한 안전기준 특례 절차 실증 연구 및 제안'을 주제로 다뤘다. 엄 위원은 "국내는 자동차 안전기준 내에 특례 제도가 규정되어 있으나 이를 실제로 운영하는 기준 등이 명확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고 했다.
그는 "각종 신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현실화되는 반면 규제는 기술발전에 선행하여 만들 수 없으므로 적기에 안전이 보장된 신기술을 소비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신속하고 명확한 절차를 마련해 특례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성용 한국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 회장은 '미래 첨단 시대에 대비한 합리적인 자동차 안전정책 마련을 위한 제언'을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자동차 첨단장치의 표준화, 자동차 안전확보 정책, 제작결함 시정제도 등에 대한 동향 분석과 함께 미래 자동차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표준 선점이 필수라고 제언했다.
2부 행사는 유럽자동차제조협회(ACEA)의 피에르 밀레트 최고 기술책임자(CTO)가 참석해 'EU 탄소중립 목표에 따른 규제동향 및 자동차 전동화 대응 현황 및 과제'를 발표했다. 그는 EU의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및 관련 정책 동향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산업(전기차 보급 등) 및 정책적인 차원에서의 고려사항 등에 대해 설명했다.
![]() |
배충식 KAIST 교수는 '수송부문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자동차 환경정책 제언' 발표를 통해 국내외 탄소중립 및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 동향을 소개했다. 목표 이행을 위한 정책 및 기술개발 대응 시나리오를 고찰함으로써 현실적인 기술 및 정책적 대응 방향도 제시했다.
마지막 순서로 볼보트럭코리아의 박강석 대표이사가 '유럽의 친환경 상용차 보급 현황 및 국내 보급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발표에 나섰다. 박 대표는 유럽 내 중대형 전기트럭 실제 운영사례 및 보급 확대를 위한 보조금 지원과 세금 감면 등 각종 지원 제도 등을 소개했다.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기 위해 국내 중대형 전기트럭 도입을 위한 볼보 트럭의 활동 및 대형전기상용차의 보급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 및 인프라 등 필수 조건에 대해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