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현 한국시니어과학기술인협회장이 "한국이 과학기술 강국으로 태어나기 위해선 시니어 과학기술인이 다양한 과업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10일 밝혔다.
박 회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시니어 과학기술인의 활용 방안과 정부의 지원 정책'을 주제로 열린 '제28회 KASSE·국회 공동포럼' 중 개회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박 회장은 "지금은 확실히 과학기술 기반 데이터·AI 시대"라며 "이 시대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인력은 과학기술인들"이라고 했다. 다만 박 회장은 "그러나 우리나라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과학기술 분야의 생산가능인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며 과학기술계의 현실에 대해 짚었다.
그러면서 지금의 상황 속 시니어 과학기술인들이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박 회장은 "60세 이상의 시니어 과학기술인의 수는 늘어나고 있다"며 "시니어 과학기술인들이 할 일이 많다"고 짚었다. 과기부와 한국연구재단 자료를 종합하면 현재 시니어 과학기술인 수는 약 7만5000명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어 박 회장은 "데이터·AI 경제 시대인 지금 한국이 세계를 선도하는 강국으로 부상하려면 우리 사회가 데이터·AI 강국으로 도약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경험이 많은 시니어 과학기술인이 적극적으로 과학기술 연구와 행정, 과학기술 문화 확산 등의 과업에 참여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끝으로 박 회장은 "포럼을 계기로 학계·연구계·산업계·정부·국회가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고, 궁극적으로는 대한민국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맺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