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전쟁을 끝내기 위한 평화협상안 합의 시한을 오는 27일로 제시했다. 사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백악관 태스크포스와 회의하는 모습. /사진=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전쟁을 끝내기 위한 평화협상안 합의 시한을 오는 27일로 제시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마련한 '28개항 평화계획' 초안을 토대로 연내 종전을 목표로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1일(현지시각) 폭스뉴스 라디오 인터뷰에서 "나는 최종시한을 많이 정해왔고, 일이 잘 풀리면 최종시한을 연장하는 경우도 있다"면서 "하지만 이번에는 목요일(11월 27일)이 적절한 시점이라고 우리는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협상안에는 우크라이나의 영토 양보 등이 담겨 있어 우크라이나 정부의 수용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취재진과의 대화에서도 "우리는 평화로 가는 방법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젤렌스키)는 승인해야 할 것"이라며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에게 협상안 수용을 압박했다. 그는 "그는 좋아해야 할 것이다. 그가 좋아하지 않는다면 그들은 그냥 계속 싸워야겠다"라고 말했다.

미 언론은 트럼프 행정부가 올해 연말까지 합의를 기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CNN은 미 정부 복수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종전 가능성을 연말까지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협상안 초안에는 ▲전투 중단 ▲전후 재건을 위한 국제 자금 조달 ▲트럼프가 의장으로 이끄는 평화위원회 설치 등이 포함됐다. 특히 ▲루한스크·도네츠크 및 크림반도를 러시아 영토로 인정 ▲헤르손·자포리자 등 남부 지역도 사실상 러시아 지배 인정 ▲우크라이나의 NATO 가입 차단 ▲우크라이나 군 규모 제한 등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우크라이나는 해당 항목 중 상당수를 과거에도 거부한 바 있으며, 영토 양보 부분은 특히 강한 반발을 낳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미 당국자는 이 초안이 아직 확정 단계가 아니며 조정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