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레이 파업을 벌인 학교 급식·돌봄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이번 주 교육당국과 재교섭에 나선다.
23일 교육계에 따르면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국여성노동조합,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으로 구성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와 교육부·시도교육청은 오는 27일 오후 추가 협상에 돌입한다.
앞서 이들은 지난 8월부터 실무교섭과 본교섭을 각각 4차례씩 진행했으나, 임금 인상 폭 등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연대회의 측은 ▲최저임금 이상으로 기본급 지급 ▲동일 기준 명절휴가비 ▲방학 중 무임금 해소 등을 요구했다. 급식실 폐암산재 예방을 위한 학교급식법 개정, 교육공무직 법제화, 예산 충원 등도 연대회의의 주요 요구다.
그러나 교육당국은 ▲기본급 7만2000원 인상 ▲명절휴가비 연 5만 원 인상을 제시하고, 다른 요구안에 대해선 수용 불가 의견을 유지했다.
양측의 견해차가 여전해 오는 27일 합의안이 도출되지 못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사측은 제한된 예산 문제로 연대회의 측의 요구안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연대회의도 사측의 현 제시안으로는 12월 타결이 어렵다며 신학기 파업을 준비할 수 있다는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추가 협상이 결렬될 경우 연대회의는 오는 12월4~5일에 다시 릴레이 파업에 나선다. 4일은 경기·대전·충남, 5일은 경남·경북·대구·부산·울산에서 파업이 예고됐다.
한편 지난 20일 서울·인천·강원·세종·충북과 21일 광주·전남·전북·제주 지역 파업에 참여한 공무직원은 총 1만1408명으로 9개 교육청 공무직원 7만7336명의 14.7%였다.
파업에 따라 급식을 중단한 학교는 전체 5339개교 중 1911개교(35.7%)였으며, 초등돌봄을 중단한 학교는 117곳, 유치원은 21개원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