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사진=뉴스1
부산항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사진=뉴스1

올 10월 경상수지가 68억달러 흑자를 나타내면서 6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이는 2021년 10월 이후 2년 만에 최대 폭의 흑자다. 반도체 회복세에 수출은 14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하면서 불황형흑자에서 벗어났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23년 10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올해 10월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68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6개월 연속 흑자로 2021년 10월(79억달러) 이후 최대 흑자다.


앞서 경상수지는 올 3월 흑자(1억6000만 달러) 기록한 후 4월 다시 적자(-7억9000만 달러)로 돌아섰다가 5월(19억3000만 달러) 흑자로 돌아선 후 9월(54억2000만 달러)까지 흑자를 기록했다.

상품수지는 53억5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해 7개월 연속 흑자를 나타냈다. 9월 기록한 74억2000만달러에 비해 20억7000만달러 축소됐다.

다만 수입 낙폭이 수출보다 큰 불황형 흑자에서 벗어나는 형태를 보였다.


수출은 570억달러로 전월대비 7.6% 증가했다. 이는 14개월 만에 상승 반전이다. 수입은 516억5000만달러로 4.3% 감소해 8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했다. 다만 9월(-14.3%)보다 하락폭이 크게 축소됐다.

서비스수지는 12억5000만달러 적자를 기록, 18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이어갔다. 다만 9월(31억9000만달러)에 비해서는 적자 폭이 과반가량 줄었다.

본원소득수지는 직접투자 및 증권투자 배당소득을 중심으로 27억7000만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이는 6개월 연속 흑자로 9월(15억700만 달러)보다 흑자 폭이 확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