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모멘텀 부문이 4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2023 한화 배터리데이'를 개최했다. /사진=김동욱 기자
㈜한화 모멘텀 부문이 4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2023 한화 배터리데이'를 개최했다. /사진=김동욱 기자

㈜한화 모멘텀 부문이 2차전지 제조 솔루션 사업을 확대한다. 차별화된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2차전지 산업경쟁력 확보에 이바지한다는 목표다.

㈜한화 모멘텀 부문은 4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2차전지 사업설명회 '2023 한화 배터리데이'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양기원 ㈜한화 대표와 협력사 대표, 학계교수 등이 참석했다.


㈜한화 모멘텀 부문은 1954년 창립이래 기계 및 자동화 사업역량을 쌓아왔다. 2차전지, 태양광, 디스플레이, 클린물류, 반도체 등의 장비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최근에는 협동로봇사업을 분할하고 2차전지와 태양광 공정 장비 솔루션 제공에 집중하는 중이다.

양 대표는 "이날 설명회는 2차전지 제조 솔루션 사업내용을 설명하고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비전을 선포하는 뜻깊은 자리"라며 "2차전지 산업의 전 공정을 포괄하는 '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Total Solution Provider)로서 대한민국 2차전지 산업경쟁력 확보에 이바지하고 글로벌 위상을 갖춰 나갈 것"이고 말했다.

㈜한화 모멘텀 부문 2차전지사업부는 다년간의 플랜트 및 파워트레인 사업을 통해 열처리 장비 및 자동화 기술 역량을 확보했다. 2009년 소재 및 전극공정 장비를 통해 2차전지 사업에 본격 진출했다. 2020년부터는 사업부 체제로 조직을 개편해 사업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소재 소성 공정부터 극판, 조립, 화성, 모듈·팩 공정에 이르기까지 등 2차전지 제조 전반에 걸친 제조장비 라인업과 기술력을 보유했다. 국내외 주요 2차전지 제조 고객사들에 우수한 품질의 장비와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이다.

㈜한화 모멘텀 부문은 세계 최초 자율주행 코팅(Coating) 기술, 세계 최대 규모 소성로, 공정 풀 턴키솔루션(Full Turn-key Solution),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팩토리 등의 기술을 2024년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차세대 양극재 공정장비, 실리콘 음극재 공정장비, 전고체·건식극판 공정 장비, 차세대 폼팩터(제품의 물리적 외형)용 조립설비 등의 기술도 개발한다.